Editor's Pick
산업
Editor's Pick
IT
네이버 카페 PLUG, 우수한 사용성 바탕으로 글로벌 게임에 적용 확대
네이버 카페 PLUG가 우수한 사용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게임에 적용을 확대해가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는 글로벌 7,8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한 히트 게임 <건쉽배틀>(게임사 조이시티)에도 적용하게 됐다고 15일 밝혔다. 네이버 카페 PLUG는 지난 11월, 전 세계 153개국에 출시된 모바일 전략 보드 게임 파이러츠워(개발사 이디오크러시)를 시작으로 국내 게임뿐만 아니라 글로벌 게임들까지 지원하기 시작했다.이후, 한 달여 만에 약 30여 개의 글로벌 게임에 적용을 확정했으며, 해외 게임사들에게도 러브콜을 받고 있다. 네이버 카페 PLUG는 모바일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중 앱을 이탈하지 않고 커뮤니티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넷플릭스, 국내 OTT 서비스에서 높은 인기... 딜라이브 플러스 앱 사용률 1위
OTT 서비스업체 '딜라이브'가 자체 조사한 결과 '넷플릭스'가 가장 인기있는 콘텐츠인 것으로 나타났다. OTT는 Over the top의 준말로서,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는 TV서비스를 의미한다. 딜라이브(D'Live)는 셋톱박스를 설치하면 다양한 콘텐츠를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내려받고 TV를 통해 즐길 수 있는 구조다. 딜라이브가 11월 한 달 동안 OTT셋탑박스 이용자들의 앱 사용률을 조사한 결과 '넷플릭스'가 79%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고, 자사 서비스 '딜라이브 무비&드라마'가 40%로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딜라이브의 자회사인 iHQ소속 연예인들의 영상과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iHQ앱이 차지했다. OTT 서비스를 이용한 10명 중 8명은 넷플[글로벌 콘텐츠 산업정보] 페이스북, '스냅쳇' 대항마 '플레쉬' 브라질 서 선 공개
▲ 페이스북, '스냅쳇' 대항마 '플레쉬' 브라질 서 선 공개 페이스북이 스냅쳇과 경쟁하기 위해 ‘플레쉬(Flash)’라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브라질에 선출시했다. 두 어플리케이션의 차이점은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에 있다. 스냅쳇은 사용자의 영상물을 24시간 동안 공유할 수 있는 반면, 플레쉬는 72시간 동안 공유할 수 있다. 페이스북은 플레쉬의 추가 출시국에 대한 계획은 발표하지 않았다. 디지털 비즈니스 업체 시스코가 지난 6월 발표한 Cisco VNI(Visual Networking Index)에 따르면, 오는 2020년까지 인터넷 트래픽에서 발생하는 콘텐츠 중 82%가 동영상(비디오)이 될 것이며, 현재는 70%에 달한다. 리우데자네이로 기술[글로벌 콘텐츠 산업정보] 사우디의 미스크 재단, 청년 벤처 활성화 전략 발표
▲ 카타르 재단, 교육용 3D 애니메이션 시리즈 출시 카타르 재단(Qatar Foundation)은 11월 새로운 에듀테인먼트 TV 시리즈인 3D 애니메이션 를 출시했다. 는 2~8세 사이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아랍어에 대한 사랑을 고취시키기 위해 제작됐다. 애니메이션 주인공인 라시드와 누라의 친구들이 3D로 구현된 카타르의 랜드마크에서 벌이는 이야기들로 구성됐다. 특히 특정 아랍 문자들로 각 에피소드를 제작해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아랍어를 접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카타르 재단은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용 앱 게임을 개발하고 유튜브 채널을 운영해 언제 어디서나 아이들이 모바일로 아랍어 공부를 할 수 있도[글로벌 콘텐츠 산업정보] 中 미디어 그룹 화이브라더스, 산둥성 지난에 영화테마파크 추진
▲ 中 미디어 그룹 화이브라더스, 산둥성 지난에 영화테마파크 추진 화이브라더스(华谊兄弟传媒集团)가 지난 14일 산둥성 지난(济南) 등과 손잡고 “화이브라더스 (지난) 영화문화파크”를 만든다. ‘화이브라더스 (지난) 영화문화파크’의 규모는 약 20만 평방미터로 영화문화파크 조성에 약50억 위안(약 8,487억 원)가 투자될 예정이다. 영화문화파크 사업을 진행하는 화이브라더스는 2015년까지 테마파크 관련 프로젝트 13건을 계약하는 등 최근 테마파크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테마파크 조성에 집중하는 기업은 화이브라더스 만이 아니다. 중국 부동산 기업 완다그룹도 “아시아의 디즈니”를 표방하며 올해 8월 지난(济南)과 600억 위안(네이버, '그라폴리오 마켓' 개방..디지털 콘텐츠 판매 가능
네이버는 콘텐츠 창작자 포트폴리오 서비스인 그라폴리오를 통해 창작자 누구나 콘텐츠샵을 열어 스티커, 컬러링시트, 음원 콘텐츠를 직접 등록해 판매하는 '그라폴리오 마켓'을 개방한다고 14일 밝혔다. '그라폴리오 마켓'은 창작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디지털 콘텐츠로 만들어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지난해 9월 처음 오픈한 이후 지속적으로 상품 카테고리와 참여 창작자 수를 확대해왔다. 이제 창작자라면 누구나 그라폴리오에서 본인 인증 후 자신의 콘텐츠샵을 오픈해 스티커, 컬러링시트, 음원 등의 디지털콘텐츠를 직접 등록하고 '그라폴리오 마켓'을 통해 판매할 수 있다. 네이버는 이를 통해 웹툰, 웹소설에 이어 일러스트레이션[글로벌 콘텐츠 산업정보] 중국, 정부권한 강화한 '인터넷안전법' 채택
▲ 중국, 정부권한 강화한 ‘인터넷안전법’ 채택 지난 7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24차 회의에서 ‘인터넷안전법(网络安全法)’이 채택됐다. 해당 법령은 2017년 6월 1일부터 시행된다. ‘인터넷안전법’에서 주목해야할 점은 기업에 대한 정부의 권한이다. 법령은 해킹 등 인터넷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인터넷 관련 기업의 기밀정보 접근권한을 가져야 한다는 규정을 담고있다. 또 이에 불응할 경우 정부는 해당 기업의 서비스를 중지할 수도 있다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정부가 승인하지 않은 정보를 기업이 서비스할 경우 처벌 가능하게 됐다. 이는 중국 내 서버를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정대전시, 공상&과학 어린이 만화체험관 운영
대전시(시장 권선택)와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오는 12일부터 만화웹툰창작센터에서 공상&과학 어린이 만화체험관 ‘오픈클래스’를 무료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공상&과학 어린이 만화체험관‘오픈클래스’는 지난 7월 25일부터 8월 25일까지 진행되었던‘공상&과학 어린이 만화체험관’프로그램의 후속 교육 프로그램으로 만화웹툰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유발을 위해 추진될 계획이다. 오는 12일 스토리텔링, 26일 콘티 만들기, 12월 3일 만화기법 등의 내용으로 만화․웹툰창작센터 내 입주 작가를 활용, 총 3회에 걸쳐 오전반(오전 10시 ~ 오후 1시), 오후반(오후 1시 30분 ~ 4시 30분)으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이며 관심 있는 대전지역[글로벌 콘텐츠 산업정보] 훌루(Hulu), 2017년에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 훌루(Hulu), 2017년에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미국의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 훌루(Hulu)가 월트디즈니사(The Walt DisneyCompany)와 21세기 폭스(21st Century Fox)와 손잡고 2017년 에 라이브스트리밍을 서비스한다. 월트디즈니사와 21세기 폭스 모두 다양한 채널을 보유하고 있다. 월트디즈니사는 ABC, ESPN, Freeform, Disney Channel 등을, 21세기 폭스는 Fox, Fox Sports, Fox News, FX Networks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훌루는 아직 미국 내 메이저 방송사로 불리는 CBS와 NBC와의 협력은 구축하지 못했다. 그러나 NBC의 모회사인 컴캐스트(Comcast)가 훌루의 대주주기 때문에 계약이 이루어지는 것은 시간문제이란 말도 나온다. 한[글로벌 콘텐츠 산업정보] 중국 라디오/TV의 페러다임, ‘디지털화’에서 ‘스마트화’로
▲ 중국 라디오/TV의 페러다임, ‘디지털화’에서 ‘스마트화’로 중국의 라디오 및 TV 관련 모든 업무/공정/네트워크가 스마트화된다.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이하 광전총국)이 발표한 에 따르면 중국은 기존 디지털화된 업무들을 스마트시대에 발맞춰 스마트화한다. 해당 업무들에는 라디오/TV의 콘텐츠 생산⋅단말기 서비스⋅감독 관리 등이 포함된다.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과학기술사(国家新闻出版广电总局科技司) 왕샤오졔(王效杰) 사장이 지난 19일 미디어 융합 기술 세미나에서 중국의 제13차 5개년 계획(十三五) 기간동안 디지털 라디오/TV를 스마트화하겠다고 밝혔다. ▲ 광전총국 장홍선 국장, "2018년 중국 영화시장 더 개방될THE POWER P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