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국토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광명 시흥 외 다른 3기 신도시에서도 LH 직원 등의 땅 투기 행위가 있었는지를 전수조사하기로 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김시연 기자] 정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현직 직원들의 광명·시흥 신도시 땅 투기 의혹과 관련해 다른 3기 신도시까지 조사대상을 확대해 검증에 나서기로 했다.
3일 국토교통부·LH 등에 따르면 정부는 광명·시흥 외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등 다른 3기 신도시에서 국토부 및 LH 직원들의 땅 투기 행위가 있었는지 전수 조사할 방침이다.
전날 시민단체 참여연대는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LH 직원들이 지난달 24일 정부가 발표한 광명·시흥 신도시 지구 내 약 7000평의 토지를 사전에 매입한 의혹이 있다”며 “해당 행위는 공직자윤리법상 이해충돌 방지 의무 위반 및 부패방지법상 업무상 비밀이용 금지 위반 가능성이 높아 감사원에 공익청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태근 민변 민생경제위원회 국장에 따르면 2018년 4월부터 2020년 6월까지 14명의 LH 직원과 그 배우자들은 총 10개의 필지, 2만3028㎡, 약 7000평의 토지를 100억원 가량에 구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금융기관을 통한 대출금만 약 5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폭로가 나오자 LH는 자체 조사에 나섰고 땅 투기 의혹을 받는 직원 14명 중 2명은 전직 직원이고 12명이 현역이라고 밝혔다. 이들 직원 상당수가 수도권 본부 토지보상 업무 부서에 있었으며 LH는 이들을 직무배제시켰다.
한편 이날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또 다른 시민단체인 활빈단으로부터 LH 전·현직 직원을 수사해달라는 내용의 고발장을 접수받아 수사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