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21 (월)

더파워

이재명 대통령,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 철회…강선우 후보자는 임명 수순

메뉴

정치사회

이재명 대통령,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 철회…강선우 후보자는 임명 수순

이우영 기자

기사입력 : 2025-07-21 09:31

강선우 여성가족부(왼쪽)·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사진=연합뉴스
강선우 여성가족부(왼쪽)·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이우영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했다. 이 후보자는 지명 21일 만에 낙마했으며,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장관 후보자 철회 사례다. 반면 보좌진 갑질 의혹이 제기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수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은 다양한 여론을 경청하며 고심 끝에 이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회는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결정을 존중해 조속히 후속 절차를 진행해달라”고 당부했다.

충남대 총장 출신인 이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제자 논문 가로채기’ 및 ‘표절’, 자녀 불법 조기 유학 의혹 등으로 논란을 빚었다. 청문회 당시 교육 정책에 대한 전문성 부족이 드러나며 교육계와 정치권 내 비판이 확산됐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도 일부 의원들이 공개적으로 사퇴를 요구한 바 있다.

반면 강선우 후보자에 대해 우 수석은 “아직 임명되지 않은 11명의 후보자 가운데 지명이 철회된 것은 이 후보자뿐”이라며 사실상 임명을 강행할 뜻을 내비쳤다. 우 수석은 “강 후보자가 현역 의원이라는 점은 고려 요소가 아니었다”고도 선을 그었다.

강 후보자는 민주당 비례대표 초선 의원으로, 보좌진에 대한 갑질 의혹 등으로 논란이 제기됐지만 대통령실은 임명 강행 기조를 유지하는 모양새다.

이번 인사 조치에 대해 야당인 국민의힘은 “강 후보자 임명은 국민 눈높이를 무시한 인사 참사”라며 반발했다. 반면 민주당은 대통령의 인사권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은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선을 새롭게 추진할 계획이다. 우 수석은 “아직 후임 인선은 진행 중이지 않다”고 밝혔으며, 향후 적절한 경로를 통해 새로운 후보자 물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강선우 여성가족부(왼쪽)·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사진=연합뉴스
강선우 여성가족부(왼쪽)·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했다. 이 후보자는 지명 21일 만에 낙마했으며,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장관 후보자 철회 사례다. 반면 보좌진 갑질 의혹이 제기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수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은 다양한 여론을 경청하며 고심 끝에 이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회는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결정을 존중해 조속히 후속 절차를 진행해달라”고 당부했다.

충남대 총장 출신인 이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제자 논문 가로채기’ 및 ‘표절’, 자녀 불법 조기 유학 의혹 등으로 논란을 빚었다. 청문회 당시 교육 정책에 대한 전문성 부족이 드러나며 교육계와 정치권 내 비판이 확산됐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도 일부 의원들이 공개적으로 사퇴를 요구한 바 있다.

반면 강선우 후보자에 대해 우 수석은 “아직 임명되지 않은 11명의 후보자 가운데 지명이 철회된 것은 이 후보자뿐”이라며 사실상 임명을 강행할 뜻을 내비쳤다. 우 수석은 “강 후보자가 현역 의원이라는 점은 고려 요소가 아니었다”고도 선을 그었다.

강 후보자는 민주당 비례대표 초선 의원으로, 보좌진에 대한 갑질 의혹 등으로 논란이 제기됐지만 대통령실은 임명 강행 기조를 유지하는 모양새다.

이번 인사 조치에 대해 야당인 국민의힘은 “강 후보자 임명은 국민 눈높이를 무시한 인사 참사”라며 반발했다. 반면 민주당은 대통령의 인사권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은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선을 새롭게 추진할 계획이다. 우 수석은 “아직 후임 인선은 진행 중이지 않다”고 밝혔으며, 향후 적절한 경로를 통해 새로운 후보자 물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우영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6.57 ▲18.50
코스닥 819.68 ▼0.99
코스피200 434.09 ▲2.9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344,000 ▼166,000
비트코인캐시 718,000 ▼11,000
이더리움 5,125,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33,460 ▼160
리플 4,774 ▲25
퀀텀 3,519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252,000 ▼132,000
이더리움 5,126,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3,430 ▼140
메탈 1,171 ▼4
리스크 677 ▼2
리플 4,773 ▲26
에이다 1,182 ▲2
스팀 21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50,000 ▼220,000
비트코인캐시 717,000 ▼11,500
이더리움 5,13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3,480 ▼160
리플 4,779 ▲30
퀀텀 3,524 ▲16
이오타 33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