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 가격 산정 대단히 어렵고 가격 변동성 매우 크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은행][더파워=조성복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암호화폐(가상화폐)가 지급 수단으로 사용되는 데는 제약이 아주 많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1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끝난 뒤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관련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총재는 "암호화폐에 대한 기존 입장이 바뀌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이 총재는 암호화폐는 내적 가치가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는 "내재 가치가 없고 지급 수단으로 쓰이는 데 제약이 크다는 것은 팩트"라며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도 최근 발언을 보면 비슷한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암호화폐는 사실상 가치의 적정 수준을, 적정 가격을 산정하기가 대단히 어렵고 가격의 변동성이 매우 크다"며 "그렇기 때문에 암호화폐 투자가 과도해지면서 투자자에 대한 대출이 부실화할 가능성이 있고, 금융안정 측면에서도 리스크가 크다"고 강조했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의 발행이 암호화폐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질문에는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CBDC가 발행되면 암호화폐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겠지만, 어느 정도일지는 CBDC의 발행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발행하는데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이기 때문에 현재의 투기 수요에 어떤 영향을 줄지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