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21 (월)

더파워

'연임 도전' 구현모 KT대표, "초거대 AI로 디지털 전환 이끌 것"

메뉴

산업

'연임 도전' 구현모 KT대표, "초거대 AI로 디지털 전환 이끌 것"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2-11-16 16:00

구현모 KT 대표가 16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KT AI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KT
구현모 KT 대표가 16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KT AI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KT
[더파워 이경호 기자] 디지털 플랫폼 기업 ‘디지코’(DIGICO)로 변화를 선언한 KT가 차세대 인공지능(AI)으로 평가받는 초거대 AI를 중심으로 한국 디지털 전환(DX)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KT는 16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디지털 강국 대한민국 도약을 이끌기 위한 'AI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KT는 3대 발전전략으로 △초거대 AI 상용화 △AI 인프라 혁신 △AI 미래인재 양성을 제시했다.

구 대표는 이날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러한 내용을 담은 3대 AI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구현모 KT 대표는 “AI 경쟁력이 향후 10년의 경쟁력이며 대한민국 전체가 글로벌 빅 아젠다로서 AI에 집중해야 한다”며 “KT는 대한민국 AI 성공을 위해 계속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구 대표는 "어느 기업이든 원하면 KT의 초거대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KT 믿음이 국내에서 실제 산업에 가장 빠르게 활용되는 초거대 AI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구 대표는 AI 인프라 혁신과 관련 "GPU(그래픽처리장치) 등 AI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엔비디아 등 글로벌 기업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며 "KAIST, 한양대, ETRI 등과 최신 AI 알고리즘 연구를 통해 내년까지 기존 대비 3배 이상 효율을 갖춘 한국형 AI 반도체 인프라를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KT가 상용화를 밝힌 ‘믿음’은 다양한 응용 사례를 쉽게 학습할 수 있는 ‘협업 융합 지능’을 보유하고 있다. KT는 멀티태스킹에 최적화된 기본 AI 모델을 만들고 응용 분야별로 전문 기업들과 협업해 KT 초거대 AI가 외부의 지식을 빠르게 습득하도록 했다.

아울러 기업고객(B2B)에게 맞춤형으로 초거대 AI 모델을 만들어주는 전문화 도구 '믿음 렛츠'를 제공하며 스타트업 및 국내외 협력사들에게 API를 제공하는 오픈 포털 '지니랩스'와 산학연 협력체 'AI 원팀'을 중심으로 개방형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초거대 AI' 전략 말하는 구현모 KT 대표/사진=연합뉴스
'초거대 AI' 전략 말하는 구현모 KT 대표/사진=연합뉴스

KT는 리벨리온(AI반도체 설계), 모레(AI 인프라 솔루션) 등에 전략 투자했으며, 내년까지 기존 대비 3배 이상 효율을 갖춘 한국형 AI 반도체의 풀스택(Full-Stack)을 완성한다는 목표다.

KT는 이날 간담회에서 에이센 클라우드를 시연했다. 에이센 클라우드 포털에 접속하면 쇼핑몰, 병원, 학원 등 주요 업종에서 즉각 사용할 수 있는 보이스봇을 소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고 가상의 컨택센터가 형성이 된다. 예컨대 쇼핑몰 보이스봇을 선택을 하면 KT홈쇼핑 주문센터로 전화 연결이 되고 AI 보이스봇이 응대를 한다. 이를 통해 원하는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상담 내역은 텍스트 형태로 곧바로 저장이 된다.

KT는 “플랫폼 제공에 국한하지 않고 물류현장 경험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앞으로 사업을 더욱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다”라고 밝혔다.

이날 KT는 AI를 활용한 디지털혁신 추진 분야로 물류 산업을 지목했다. 디지털 물류 전문회사 롤랩과 ▲AI 운송 ▲AI 풀필먼트 ▲AI 화물·중개 운송 3종의 KT AI 물류 플랫폼을 활용해 대한민국 물류의 디지털화를 주도하겠다는 비전이다.

국토교통부 조사에 따르면 2019년 우리나라 물류 시장 규모는 약 92조원이다. KT는 이 중 약 16조7천억원의 시장에서 최우선으로 AI 물류 혁신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단계별 AI 전환으로 2025년까지 약 5천억원 매출을 거둔다는 목표다.

KT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실천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한다. AI를 물류에 도입하면 대기환경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부연이다. AI로 화물차 운행을 최적화하면 현재 우리나라 도로화물운송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최대 20% 수준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KT 측은 예상했다.

AI 분야 미래인재 양성도 힘을 쏟는다.

KT 채용 연계 교육프로그램 '에이블 스쿨'에서 향후 5년간 약 5000명의 디지털 인재를 키운다. 국내 첫 AI 실무능력 인증시험 'AICE'을 개발해 AI 인재 육성에 나서는 등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을 현실화할 방침이다.

한편 구 대표는 최근 연임 도전을 밝힌 것과 관련 "KT가 통신에 기반해서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사업자의 모델을 만들고 있지만 새로운 형태의 사업자로 구조적인 변화 가능성을 확보했다는 판단이 서지 않아 도전하게 됐다"고 말했다.

KT는 구 대표가 연임 희망 의사를 피력함에 따라 지난 8일 이사회를 열고 차기대표 선출을 위한 우선심사 대상으로 구 대표를 선정했다. 구 대표 임기는 내년 3월까지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0.81 ▲22.74
코스닥 821.69 ▲1.02
코스피200 434.56 ▲3.46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87,000 ▲57,000
비트코인캐시 724,000 ▲500
이더리움 5,184,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33,080 ▼290
리플 4,815 0
퀀텀 3,50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55,000 ▲116,000
이더리움 5,182,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33,070 ▼260
메탈 1,177 ▲6
리스크 683 ▲2
리플 4,811 ▲2
에이다 1,252 ▲17
스팀 21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5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723,500 ▲4,000
이더리움 5,185,000 0
이더리움클래식 33,070 ▼280
리플 4,817 ▲2
퀀텀 3,519 ▼1
이오타 33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