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21 (월)

더파워

신한울 1호기 12년만에 본격 가동... "원전 생태계 재도약 발판"

메뉴

산업

신한울 1호기 12년만에 본격 가동... "원전 생태계 재도약 발판"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2-12-14 15:24

신한울 1·2호기 외관
신한울 1·2호기 외관
[더파워 이경호 기자] 대한민국 27번째 원전인 신한울 1호기가 착공 12년 만에 본격 가동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경북 울진군 북면 덕천리·고목리 신한울 1호기 부지에서 지역 주민과 국내외 원전 산업 관계자를 초청해 신한울 1호기 준공식을 개최했다.

윤석열 정부의 원전 확대 기조에 따라 신한울 1호기는 지난 7일부터 상업운전에 돌입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축사에서 "신한울 1호기는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APR1400 노형으로 계측제어설비와 같은 주요 기자재 핵심기술을 완전 국산화한 최초의 원전"이라며 "해외수출을 위한 대표적인 참조 원전으로서 우리 원전 기술의 우수성과 안전성을 전 세계에 증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8월, 3조 원 규모의 이집트 원전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10월에는 폴란드 신규 원전건설에 협력하기로 하는 등 정부 출범 이후 의미 있는 성과들이 있었다"며 "원전산업을 우리 수출을 이끌어 가는 버팀목으로 만들고,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원전 강국으로 위상을 다시금 펼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준공식에 직접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전국적인 대설과 한파 상황을 고려해 일정을 변경했다. 축사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대독했다.

정부에 따르면 신한울 1호기의 연간 예상 발전량은 1만424GWh(기가와트시)로, 지난해 경북 전력 소비량(4만4천258GWh) 4분의 1에 달한다.

산업부는 동계 전력 예비율을 1.6%포인트(p) 상승(11.7→13.3%)시켜 겨울철 전력 수급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연간 최대 140만t(톤)이 넘는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대체해 에너지 연료의 대부분(약 93%)을 수입에 의존해 발생하는 에너지 무역적자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한울 1호기는 차세대 한국형 원전인 APR1400이 적용됐으며, 그간 기술자립을 이루지 못한 영역으로 남아있던 핵심기자재를 국산화한 최초의 원전이다. 이에 따라 향후 체코 등으로 수출될 한국형 원전의 대표 모델로서 윤석열 정부 국정 과제인 '2030년까지 10기 원전 수출'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산업부는 신한울 3·4호기의 인허가 절차를 효율화해 내년 중 전원개발실시계획 승인을 완료하는 등 2024년 착공을 목표로 신속한 건설 재개를 추진 중이다.

또한, 원전 산업 전문 인력 양성과 원자력 분야의 기업 지원 인프라 구축 등 원전 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도 조성해나갈 계획이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0.81 ▲22.74
코스닥 821.69 ▲1.02
코스피200 434.56 ▲3.46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60,000 ▼35,000
비트코인캐시 723,000 0
이더리움 5,194,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33,160 ▼300
리플 4,815 0
퀀텀 3,51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60,000 ▼14,000
이더리움 5,189,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33,130 ▼280
메탈 1,176 ▲2
리스크 681 ▲0
리플 4,811 ▲1
에이다 1,254 ▲27
스팀 21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3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722,000 0
이더리움 5,19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3,120 ▼370
리플 4,815 0
퀀텀 3,500 ▼20
이오타 33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