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8 (금)

더파워

[더파워 FOCUS] 이정훈의 빗썸, '허수 거래·코인 대여' 논란에 IPO 발목 잡히나

메뉴

산업

[더파워 FOCUS] 이정훈의 빗썸, '허수 거래·코인 대여' 논란에 IPO 발목 잡히나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5-07-18 13:54

빗썸 이용자들 "‘신뢰’와 ‘투명성’ 스스로 훼손"...수수료와 이자 수익만 노리는 영업 행태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빗썸코리아 이사회 의장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빗썸코리아 이사회 의장
[더파워 이경호 기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2026년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IPO 절차에 본격 돌입했지만, 거래 왜곡 정황과 고위험 투자 유도 서비스 등 연이은 논란으로 시장의 신뢰를 스스로 무너뜨리고 있다. 특히 빗썸의 실질적 지배자로 알려진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 의장이 경영권을 회복한 상황에서, 상장을 향한 시도가 오히려 ‘공모시장 리스크’로 비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빗썸은 최근 VIP 회원을 대상으로 특정 가상자산 종목에 유동성을 공급하면 보상을 지급하는 ‘메이커 리워드’ 프로그램을 비공식적으로 운영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 프로그램은 공식적으로는 지난 6월 1일 종료됐지만, 빗썸은 일부 회원에게만 문자로 보상을 안내하고, 개별 종목별로 하루 50만원, 최대 250만원의 리워드를 지급했다.

이로 인해 평소 거래량이 미미했던 마이너 코인들의 거래가 수백억 원대로 폭등하는 비정상적 흐름이 관찰됐다. 대표적으로 시아코인의 하루 거래량은 이벤트 전 2500만원에 불과했지만, 리워드 기간에는 1300억원까지 급증했다가 종료 직후 다시 300만원대로 급락했다. 실질 수요 없이 보상만을 목적으로 한 ‘허수 거래’ 유도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행위는 IPO를 추진 중인 거래소가 취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빗썸 회원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공모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인 ‘신뢰’와 ‘투명성’을 스스로 훼손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금융당국과 증권가에서도 "이례적인 거래 급등 패턴과 일부 투자자에만 제공된 리워드는 공정성 원칙에 어긋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메이커 유동성 공급을 알지 못한 일반 투자자는 거래량이 갑자기 폭증한 이유를 착각하고 매수에 나설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여기에 빗썸은 최근 고위험 레버리지 상품인 ‘코인대여 서비스’까지 도입했다. 이용자가 보유한 담보 자산을 기반으로 최대 4배까지 코인을 빌려 매매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사실상 현물 공매도나 레버리지 투자를 가능케 한다. 업비트가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대형 코인 중심인데 반해 빗썸은 취급하는 코인이 더 다양하다. 또 최대 대출 한도도 업비트는 5천만원이지만 빗썸의 경우 블랙 등급에게는 5억원까지 빌려준다. 업계에선 “시장 건전성을 해치는 수단을 앞세워 수수료와 이자 수익만 노리는 영업 행태”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모습이다.

문제는 이런 일련의 영업 행위가 빗썸 IPO 시기에 맞춰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빗썸은 삼성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해 기업 실사를 진행 중이며, 내년 1월 예비심사 청구, 2026년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존속법인(거래소 운영)과 신설법인(신사업 투자)으로 나누는 인적분할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금융감독원은 올해 4월 빗썸 측에 분할 구조의 불투명성과 재무 영향 설명 부족을 이유로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했다. 또 거래소 운영 실체와 지배구조를 둘러싼 의문도 여전하다.

현재 빗썸의 최대주주는 이정훈 전 의장이 지배하는 DAA로, 최근 콜옵션을 통해 빗썸홀딩스 지분 34.2%를 확보하며 단독 최대주주에 올라섰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 전 의장을 빗썸의 동일인(총수)으로 지정했다. 그동안 각종 경영권 분쟁과 형사 사건 중심에 있었던 인물이 다시 전면에 나서면서, 시장에서는 “상장을 위한 내부 통제보다, 외형적 숫자 맞추기에만 몰두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IPO는 신뢰가 전제된 제도권 진입 절차다. 하지만 빗썸은 유동성 부풀리기, 고위험 영업, 불투명한 지배구조 등 기업공개 기업으로서의 자격을 스스로 흔들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빗썸은 자본시장에 진입하려면 단순히 실적이나 점유율이 아니라, 통제 가능한 경영 구조와 윤리적 영업 행태를 증명해야 한다”며 “지금 같은 구조와 전략이라면 IPO는 물 건너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lkh@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8.07 ▼4.22
코스닥 820.67 ▲2.40
코스피200 431.10 ▼0.54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163,000 ▼167,000
비트코인캐시 717,000 ▼5,500
이더리움 4,986,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32,380 ▼400
리플 4,794 ▲34
퀀텀 3,372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070,000 ▼52,000
이더리움 4,980,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32,360 ▼400
메탈 1,138 ▲3
리스크 647 ▲2
리플 4,780 ▲17
에이다 1,169 ▲8
스팀 21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210,000 ▼210,000
비트코인캐시 715,500 ▼7,500
이더리움 4,985,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32,380 ▼310
리플 4,795 ▲40
퀀텀 3,388 0
이오타 325 ▼6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