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6 (수)

더파워

정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 -1%대로 사실상 하향 조정... "내년 3.2% 될 것"

메뉴

경제

정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 -1%대로 사실상 하향 조정... "내년 3.2% 될 것"

이지웅 기자

기사입력 : 2020-12-22 09:53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 사진제공=기획재정부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 사진제공=기획재정부
[더파워=이지웅 기자] 정부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1%에서 -1%대로 사실상 하향 조정했다. 코로나19 3차 대유행 상황을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2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국제금융센터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올해 -1%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부가 지난 17일 2021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1.1%를 제시한 점을 감안하면 실제 성장률이 이보다 낮게 나올 가능성을 열어둔 셈이다. 사실상 하향 조정이다.

정부가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한 -1.1%는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일정 수준에서 통제된다는 가정에 기반한 수치였다. 이번 경제 성장률 전망치 조정은 최근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진 상황을 반영해 미세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김 차관은 낙관적인 경제 성장 전망을 내놨다. 김 차관은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에 가장 근접한 국가이자 경제규모 세계 10위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정부는 대내외 여건과 실물흐름, 정책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내년도 우리 경제의 성장률도 3.2%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글로벌 경제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경제적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며, "미국의 12월 둘째 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9월 이후 최대치를 경신했고 영국에서는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 확산으로 런던 등의 방역조치가 최고 수준으로 격상되는 등 경제적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상무부의 중국 기업 블랙리스트 추가 등 미국·중국 간 갈등, 영국-유럽연합(EU) 간 브렉시트 협상 지연 등 리스크 요인으로 연말·연초에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차관은 "전 세계적으로 늘어난 유동성이 자산시장 이상 과열, 양극화 확대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시중 유동성이 우리 경제의 포용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쓰이도록 보다 세심하게 관리할 것"이라며, "시중자금이 생산적 부문에 유입되고 장기간 머무르도록 한국판 뉴딜 및 BIG3(미래차·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 분야 등 미래 성장동력에 대한 민간투자 인센티브를 제고하며 주식 장기보유에 대한 세제지원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지웅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6.38 ▼28.90
코스닥 812.23 ▼0.65
코스피200 431.16 ▼3.6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337,000 ▲828,000
비트코인캐시 685,000 ▲5,000
이더리움 4,324,000 0
이더리움클래식 26,820 ▲40
리플 4,032 ▲27
퀀텀 3,172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468,000 ▲968,000
이더리움 4,330,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6,790 ▲70
메탈 1,090 0
리스크 640 ▼0
리플 4,033 ▲27
에이다 1,027 ▲8
스팀 20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430,000 ▲810,000
비트코인캐시 684,500 ▲2,000
이더리움 4,327,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6,810 ▲110
리플 4,039 ▲30
퀀텀 3,138 0
이오타 3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