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조성복 기자] SK이노베이션이 최근 샐리 예이츠 전 미국 법무부 부장관을 영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24일 외신 등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서 LG에너지솔루션과의 법적 분쟁과 관련해 예이츠 전 부장관을 미국 사업 고문으로 영입하고 자문을 받고 있다.
앞서 올해 초 SK이노베이션은 빌 클린턴 정부와 오바마 정부에서 환경·기후변화 관련 업무를 담당한 캐롤 브라우너 변호사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한 바 있다.
예이츠 전 부장관은 오바마 정부의 마지막 법무부 부장관을 지냈다. 트럼프 정부 들어서 장관대행을 맡던 중 '반(反)이민' 행정명령에 반기를 들었다가 경질됐다. 바이든 정부에서 법무장관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예이츠 전 부장관은 최근 현지 언론 인터뷰를 통해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수입 금지 명령을 내린 ITC 결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ITC 결정이 SK이노베이션의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이 창출할 수 있는 2600개 일자리를 위협하고, 전기차 확대를 통한 기후변화 대처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ITC는 SK이노베이션이 LG에너지솔루션(당시 LG화학) 인력을 빼가는 방식으로 영업비밀을 침해했다고 인정했다. 이에 따라 리튬이온배터리 수입을 10년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미국 대통령은 ITC 결정에 대해 60일간 리뷰하고 공익성 등을 이유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SK이노베이션은 예이츠 전 부장관을 통해 이를 공략할 계획이다.
외교부 통상교섭본부장 출신인 김종훈 SK이노베이션 의장은 최근 미국을 방문해 대통령 거부권 행사가 필요하다고 미국 행정부와 정치권에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조지아주 상원은 23일(현지시간) SK이노베이션과 LG에너지솔루션 양사가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사건에 대해 조속히 합의하라고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상원은 바이든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촉구하는 내용으로 결의안을 추진했다. 하지만 민주당 의원들의 요구에 따라 결의안 내용을 수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주 주지사는 지난 12일 대통령 거부권으로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수입금지 조처를 뒤집어달라며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