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김기남 부회장 "삼성전자, 2030년까지 반도체 분야에 총 171조원 투자"

메뉴

경제

김기남 부회장 "삼성전자, 2030년까지 반도체 분야에 총 171조원 투자"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1-05-13 16:52

2022년 하반기 평택 3라인 완공 통해 최첨단·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육성

13일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이 'K-반도체 전략' 보고 회의에 참석해 2030년까지 반도체 분야에 총 17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13일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이 'K-반도체 전략' 보고 회의에 참석해 2030년까지 반도체 분야에 총 17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삼성전자가 문재인 정부가 13일 발표한 ‘K-반도체 전략’에 발맞춰 향후 2030년까지 첨단 파운드리 공정연구 개발 등에 총 171조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김기남 삼성전자 DS(디바이스솔루션) 부회장은 평택캠퍼스에서 열린 ‘K-반도체 벨트 전략 보고대회’에 참석해 “지난 2019년 4월 ‘시스템반도체 비전 2030’ 발표 당시 수립한 133조원의 투자계획에 38조원을 추가해 2030년까지 총 17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시스템 반도체 2030 비전’ 발표 이후 삼성전자는 지난 2년 동안 반도체 제조 기업과 팹리스, 공급망의 핵심인 소재·부품·장비 업체, 우수 인재 육성을 담당하는 학계 등 국내 반도체 생태계 주요 구성원 간의 상호 협력을 활성화하고 비전 달성을 위한 기반을 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모든 산업 분야에서 전례 없는 반도체 부족 사태가 빚어지고 각국 정부가 미래 산업의 핵심인 반도체 공급망 유치를 위해 경쟁하는 상황에서 자사의 시스템반도체 투자 확대는 ‘K-반도체’의 위상을 한층 더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오는 2022년 하반기 평택 3라인 완공을 통해 최첨단·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2022년 하반기 완공될 평택 3라인의 클린룸 규모는 축구장 25개 규모다.

평택 3라인 클린룸은 현존하는 최첨단의 기술이 집약된 공장으로 EUV 기술이 적용된 14나노 D램과 5나노 로직 제품을 양산한다. 모든 공정은 스마트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전자동으로 관리된다.

이와함께 삼성전자는 평택캠퍼스를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로서 최첨단 제품을 양산하는 전초기지로 삼고 글로벌 반도체 공급기지로서의 주도적 역할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또 향후 차세대 D램에 EUV 기술을 선도적으로 적용하고 메모리·시스템반도체를 융합한 ‘HBM-PIM’, D램의 용량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CXL D램’ 등 미래 메모리 솔루션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해 ‘초격차 세계 1위’ 위상을 유지·강화할 방침이다.

김기남 부회장은 “한국이 줄곧 선두를 지켜온 메모리 분야에서도 추격이 거세다”며 “수성에 힘쓰기보다는 결코 따라올 수 없는 ‘초격차’를 벌리기 위해 삼성전자가 선제적 투자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반도체 생태계 육성을 위한 상생협력과 지원·투자에도 힘쓸 예정이다.

먼저 국내 반도체 생태계 발전을 위한 상생협력과 지원·투자를 더욱 늘리고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육성을 위해 팹리스 대상 IP 호혜 제공, 시제품 생산 지원, 협력사 기술교육 등 다양한 상생 활동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공급망 핵심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는 물론 우수 인재 육성을 위한 학계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파운드리 분야의 경우 사업 규모가 커질 수록 국내 팹리스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도 함께 커진다. 아울러 다수의 팹리스 창업까지 이뤄지면서 전반적인 시스템 반도체 산업의 기술력이 업그레이드되는 부가 효과를 유발한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 확대는 5G·AI·자율주행 등 우리나라 미래 산업의 밑거름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김기남 부회장은 “지금 대한민국의 반도체 산업은 거대한 분수령 위에 서 있고 대격변을 겪는 지금이야말로 장기적인 비전과 투자의 밑그림을 그려야 할 때”라며 “우리가 직면한 도전이 크지만 현재를 넘어 미래를 향해 담대히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K-반도체 전략 보고’ 대회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포함해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유은혜 교육부 장관 겸 사회부총리,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정부기관 장관급 인사들이 자리를 함께 했다.

기업 인사들로는 김기남 부회장 외에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정칠희 네패스 회장 등이 참석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65,000 ▲225,000
비트코인캐시 688,000 ▼1,000
이더리움 4,006,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660 ▼50
리플 3,727 ▲2
퀀텀 3,082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61,000 ▲199,000
이더리움 4,005,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660 ▼70
메탈 1,043 ▼7
리스크 592 ▼8
리플 3,726 ▲1
에이다 963 ▼1
스팀 19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60,000 ▲220,000
비트코인캐시 688,000 ▼1,000
이더리움 4,004,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660 ▲30
리플 3,730 ▲5
퀀텀 3,087 ▲11
이오타 25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