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픽스 등 지표금리 상승에 대출규제 압박 속 우대금리 인하
주요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불과 2주 만에 0.2~0.3포인트 오르는 등 빠른 속도로 급상승중이다. [사진제공= 각 사][더파워=유연수 기자] 주요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불과 2주 만에 0.2~0.3포인트 급상승했다.
은행이 대출금리의 기준으로 삼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같은 지표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 정부로부터 가계대출 규제 압박을 받는 은행들이 가산·우대금리 조정을 통해 대출금리를 시장금리보다 더 큰 폭으로 올리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 17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2.961∼4.52% 수준이다.
이는 2주 전인 이달 3일(2.80∼4.30%)과 비교해 하단과 상단이 각 0.161%포인트, 0.22%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변동금리가 아닌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도 같은 기간 연 2.82∼4.441%에서 3.17∼4.67%로 상승했다. 최저, 최고금리가 각 0.35%포인트, 0.229%포인트 오른 셈이다.
신용대출의 경우 17일 기준 3.10∼4.18% 금리(1등급·1년)가 적용된다. 3일(3.00∼4.05)보다 상·하단이 모두 0.1%포인트 남짓 상승했다.
이런 은행권의 대출금리 인상 폭은 시장금리 등 조달비용을 반영한 지표금리 상승 폭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실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오름폭은 지표금리(코픽스) 상승 폭(0.07%포인트)의 약 3배다. 최근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가산금리를 더 올리거나 우대금리를 줄이고 있다는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고정금리는 주로 은행채 5년물 등 금융채 금리를 기준으로 삼는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이달 3일 1.939%에서 17일 현재 2.029%로 2주일 새 0.09%포인트 높아졌다.
그러나 이 기간 실제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하단 인상 폭은 거의 4배인 0.35%포인트에 이른다.
이는 은행들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에 따른 대출 총량을 관리하기 위해 가산금리를 인상하고 우대금리를 축소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