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6 (수)

더파워

[2021 국감] 경제관료 금융권 취업, 현정부서 26% 늘어...관피아 풍토 ‘여전’

메뉴

경제

[2021 국감] 경제관료 금융권 취업, 현정부서 26% 늘어...관피아 풍토 ‘여전’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1-10-05 10:50

은행·보험사·증권사·카드사 등 164개 금융기관 조사
기재부 출신자 39→43명, 전체 경제공무원 199→250명 취업...박근혜 정부때보다 늘어
용혜인 “관피아·모피아 풍토, 개선 안 돼...옵티머스·LH 사태 언제든 다시 일어날 수 있어”

문재인 정부 경제 관료의 금융권 취업이 박근혜 정부때보다 2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용혜인 의원실]
문재인 정부 경제 관료의 금융권 취업이 박근혜 정부때보다 2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용혜인 의원실]
[더파워=유연수 기자] 문재인 정부 경제관료의 금융권 취업이 박근혜 정부 때보다 25.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이 시중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증권사, 카드사 164곳을 조사한 결과, 경제부처 및 기관 근무자는 박근혜 정부 시기인 2013-2016년 금융기관에 199명 취업했고 문재인 정부 시기인 2017-2020년 250명 취업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5개 경제부처 및 기관의 금융기관 취업도 102명에서 124명으로 늘었다. 또한 기획재정부 출신자도 39명에서 43명으로 늘어 경제관료들의 금융권 진출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기관 중에서는 1금융권과 저축은행의 증가율이 두드러진다. 박근혜 정권 시기에 비해 거의 두 배 가까이 늘어 89.2%에 달했다. 저축은행은 50명에서 72명으로 늘어 44.0%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증권사 취업자는 오히려 줄었고 보험사와 카드사로의 취업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금융기관으로의 경제부처 및 기관 경력자 취업 증가는 대부분 은행권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73개 업체가 경제부처 및 기관 경력자를 채용했는데 문재인 정권 들어서는 88개 업체로 늘었다.

금융권에 취업한 경력자들은 대체로 1-4급의 고위급 공무원인 것으로 보인다. 일부 금융기관의 자료 협조가 원활하지 않아 절반 이상의 경력자의 퇴직 시 직급을 알 수 없었으나, 직급을 알 수 있는 경우 89%가 1-4급 퇴직자였다. 상당한 실무 경험과 권한을 쥐고 인맥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을 금융권이 주로 원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공무원들의 관련기관 취업 문제는 국정감사의 단골 지적사항이다. 특히 세월호 사건 이후 이른바 ‘해피아’의 폐해가 드러나면서 공직자윤리법이 강화됐고 재산등록공직자의 경우에는 유관업계에 3년간 취업할 수 없고 취업승인을 받아야 취업할 수 있다(공직자윤리법 17, 18조). 그러나 이런 제한에도 경제관료들의 금융기관 취업을 제대로 억제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승인 심사제도 승인율은 90%에 육박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대선 공약으로 “공직윤리를 강화하여 부패 없는 깨끗한 공직사회 구현”을 천명했지만 박근혜 정권 때보다도 경제관료들이 더 많이 금융권으로 취업했다는 결과는 이해관계 충돌과 부패의 온상을 만들 수 있다는 게 용혜인 의원의 지적이다.

용 의원은 “세월호의 교훈을 새겨야 할 문재인 정부가 느슨한 제도 개선으로 관피아·모피아 청산에 실패했다”며 “관료와 금융이 결탁한 카르텔이 굳건한 이상 경제금융개혁과 부패 청산이 쉽지 않을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21대 국회와 차기 정부는 “낙하산 방지, 이해관계자 이력 추적 및 공개, 공직자윤리법의 강화 등을 다각도로 모색해야”한다고 강조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1.77 ▼23.51
코스닥 812.22 ▼0.66
코스피200 431.80 ▼2.98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90,000 ▲193,000
비트코인캐시 682,500 ▲500
이더리움 4,270,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6,830 ▲190
리플 3,984 ▲4
퀀텀 3,146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356,000 ▲245,000
이더리움 4,274,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6,850 ▲170
메탈 1,084 ▲2
리스크 634 ▼1
리플 3,985 ▲6
에이다 1,012 ▼3
스팀 20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310,000 ▲350,000
비트코인캐시 683,500 ▲2,000
이더리움 4,276,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6,460 0
리플 3,988 ▲12
퀀텀 3,134 ▼4
이오타 30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