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명령어 누락' KT 네트워크 장애 사태 발발...1·2차 검증서도 누락 찾지 못해

메뉴

정치사회

'명령어 누락' KT 네트워크 장애 사태 발발...1·2차 검증서도 누락 찾지 못해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1-10-29 16:02

과기정통부, ‘KT 네트워크 장애 원인 분석 결과’ 발표...작업관리자 없이 협력업체 직원만 작업

29일 조경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최근 발생한 KT 대규모 네트워크 장애 사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29일 조경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최근 발생한 KT 대규모 네트워크 장애 사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지난 25일 전국적으로 1시간 이상 발생한 KT의 대규모 네트워크 장애 사고는 KT의 부실 관리 및 기술적 문제점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T는 작업관리자 없이 협력업체 직원들끼리만 작업하도록 하는 등 부실 관리했고 사전 검증 단계에서는 오류를 찾아내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발표한 ‘KT 네트워크 장애 원인 분석 결과’에 따르면 부산국사에서 기업 망 라우터 교체 작업을 하던 작업자가 잘못된 설정 명령을 입력했고 이후 라우팅 오류로 인해 전국적인 인터넷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했다.

KT의 대규모 네트워크 장애 사고 이후 과기정통부는 정보보호 및 네트워크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사고조사반을 구성해 사고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사고조사반이 이번 사고를 조사·분석한 결과 당초 KT 네트워크관제센터는 야간작업(01시~06시)을 승인했지만 실제 작업은 주간에 수행됐다. 이어 이때 작업 도중 대규모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이 때 작업현장에는 작업 관리자 없이 협력업체 직원들만 라우팅 작업을 수행하는 등 작업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작업관리체계가 부실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이들은 네트워크가 연결된 채로 작업을 수행했다.

라우팅 작업계획서상의 라우팅 설정 명령어 스크립트에서 IS-IS 프로토콜을 종료하는 ‘exit’ 명령어가 누락됐음에도 KT는 스크립트 작성과정 및 사전 검증 과정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다 네트워크가 차단된 가상 상태에서 오류 여부를 사전에 발견하기 위한 가상 테스트베드도 없었으며 지역에서 발생한 오류가 전국으로 확산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도 전혀 없었다.

KT가 최초 주장했던 DDoS(디도스) 공격 여부에 대해선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났다. 사고조사반 조사 결과 DNS 서버에 대한 트래픽 증가는 있었지만 시스템 자원 DDoS 공격 및 네트워크 대역폭 공격은 확인되지 않았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통신사업자 네트워크의 생존성·기술적·구조적인 대책이 담긴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을 단장으로 네트워크 전문가 등과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운영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단기 대책으로 주요 통신사업자을 상대로 네트워크 관리체계 점검, 네트워크 작업으로 인한 오류 여부 사전 진단 시뮬레이션 시스템 도입, 네트워크관제센터의 기술적 점검 체계 구축, 라우팅 작업시 한 번에 업데이트되는 경로정보 개수 제한 등을 검토한다.

중장기 대책으로는 주요 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통신장애 대응 모니터링 체계 강화, 네트워크 안정성·복원력을 향상 기술 개발, 안정적인 망구조 등 네트워크의 생존성 확보를 위한 구조적 대책 마련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KT는 대규모 네트워크 장애 사태로 피해를 입은 이용자들을 위해 피해현황 조사 및 피해구제 방안 마련을 추진할 방침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KT의 이용자 피해구제 방안 이행 여부를 점검할 예정이다.

방통위는 이번 사례와 같은 대규모 통신장애 발생 시 실효성 있는 피해구제를 위한 법령 및 이용약관 등 개선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15,000 ▲56,000
비트코인캐시 689,000 ▼1,000
이더리움 4,011,000 0
이더리움클래식 24,680 ▼50
리플 3,736 ▲7
퀀텀 3,099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62,000 ▲22,000
이더리움 4,009,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640 ▼90
메탈 1,049 ▲2
리스크 590 ▼8
리플 3,735 ▲7
에이다 966 0
스팀 19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00,000 ▲160,000
비트코인캐시 688,000 ▼2,000
이더리움 4,009,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660 ▼100
리플 3,738 ▲14
퀀텀 3,100 ▲23
이오타 25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