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0 (목)

더파워

KDI "국제유가 상승·중국경제 등 대외 불확실성↑"

메뉴

경제

KDI "국제유가 상승·중국경제 등 대외 불확실성↑"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09-07 13:50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부동산 개발 업체로부터 촉발된 중국 경제 불안과 국제유가 상승 등 최근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KDI는 7일 발표한 9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 부진이 다소 완화되고 있지만 중국 경기 불안 등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앞서 KDI는 지난 7월 경제동향에서 "경기 저점을 지나가고 있다"고 판단한 데 이어 8월에는 "경제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는 모습"이라며 회복세를 부각했다.

하지만 이번 평가에서는 '경기 부진 완화'라는 표현이 빠지고 대외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포함됐다.

반도체 생산은 5월에 전년동월대비 18.7% 감소했다가 6월과 7월 감소폭이 각각 15.8%와 14.8%로 수출 부진이 완화되고 있다. 일평균 수출액 감소폭도 7월 33.6%에서 지난달 20.6%로 줄었다.

KDI는 반도체 수출 부진도 점차 완화되고 있지만 중국 경기 불안, 국제유가 상승 등 경기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중국 경제에 대해선 “부동산 기업의 금융 불안, 부동산 투자 부진 등 경기 하방 위험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7월 중국의 산업 생산과 소매 판매, 부동산 투자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입의 감소 폭마저 크게 확대된 바 있다. 이에 주요 투자 은행들은 올해 중국의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블룸버그의 전문가 설문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올해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5.1%로, 이전 설문 전망치(5.2%)보다 하향 조정했다.

여기에 국제 유가도 변수로 거론됐다.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3.4% 뛰었다. 석유류가 전년동월대비 11.0% 하락했는데 전월(-25.9%)보다 감소폭이 축소되면서 물가 상승폭이 확대됐다.

KDI는 “최근 유가 상승과 올해 하반기 재고 감소 전망 등이 반영돼 주요 기관의 유가 전망치는 상향 조정되는 추세”라고 했다.

소비의 경우 7월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1.9% 증가해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소매판매(-1.7%)는 고물가로 인해 감소 전환되는 등 부진한 흐름이 지속됐다. 반면 소비자심리지수(103.1)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소비 심리는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기계류와 운송장비 모두 줄며 감소 폭이 확대된 설비투자(-11.0%)는 낮은 제조업 평균가동률(70.2%), 관련 선행지표 등을 근거로 부진 흐름이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높은 증가세를 보이는 건설투자도 건설수주(-55.3%), 주택착공(-71.67%) 등 선행지표가 좋지 않아 앞으로 증가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KDI는 “지난달 수출 감소폭이 8.4%로 전달(-16.4%)에 비해 축소된 것을 감안하면 광공업생산 부진이 완화되는 흐름은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42.32 ▲8.58
코스닥 793.64 ▲3.28
코스피200 423.08 ▲1.06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887,000 ▼82,000
비트코인캐시 699,500 ▲1,500
이더리움 3,759,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4,020 ▼80
리플 3,270 ▼3
퀀텀 2,876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30,000 ▼107,000
이더리움 3,760,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3,990 ▼80
메탈 975 ▲4
리스크 554 ▼2
리플 3,269 ▼2
에이다 847 0
스팀 182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90,000 ▼70,000
비트코인캐시 699,000 ▲1,500
이더리움 3,760,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4,050 ▼60
리플 3,271 ▼1
퀀텀 2,860 0
이오타 23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