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이 지난 8월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복권된 지 두 달 만에 또다시 경찰의 수사선상에 올랐다. 태광그룹은 이 전 회장의 복권으로 지배구조를 포함한 조직 재정비 작업과 신사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오너 리스크가 급부상하자 긴장하는 모습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지난 24일 태광그룹 이호진 전 회장의 자택과 태광그룹 경영협의회 사무실, 계열사인 태광CC 등 3곳을 압수수색했다. 태광CC가 계열사에 공사비를 부당 지원했고, 임원들의 급여를 빼돌린 혐의다.
앞서 이 전 회장은 2018년 회삿돈 배임·횡령으로 유죄가 확정돼 3년을 복역한 뒤 출소했고, 지난 8월 특별사면을 받아 경영에 복귀했다.
경찰과 태광 등에 따르면 경찰은 태광CC가 계열사에 대해 공사비를 부당 지원했는지를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경제개혁연대는 지난 5월 태광그룹이 이 전 회장과 친족이 100% 소유한 골프장 업체 티시스의 회원권 판매를 위해 계열사를 부당하게 동원했다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를 요청하기도 했다.
태광그룹 계열사들이 협력업체와 거래를 체결할 때 이들에게 유리한 조건을 거는 대신 이 전 회장 일가가 소유한 업체의 회원권을 사들이게 했다는 게 고발 내용이다. 계열사가 손해를 감수하면서 오너 일가의 사익 편취를 도왔다는 취지다.
경찰은 이 전 회장이 태광그룹 계열사를 동원해 대규모의 비자금을 조성한 의혹도 수사 중이다. 이 전 회장은 그룹 계열사들을 통해 20억원 규모의 불법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업무상 배임·횡령)를 받고 있다. 그룹 임원들을 계열사에 근무하는 것처럼 꾸며 급여를 되돌려받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또 비자금 조성 과정에서 태광그룹 임원들이 겸직 위반도 저질렀다고 보고 있다. 그룹 임원은 계열사에 겸직하는 것이 금지돼 있는데, 한 임원은 2015~2018년 계열사인 태광산업에서 재무실장을 맡아 회삿돈을 빼돌리는 등 이 전 회장의 비자금 조성에 주도적으로 관여한 정황이 있다는 것이다.
경기도 용인에 있는 골프장 태광CC를 통해 그룹 계열사 공사비를 부당하게 지원한 혐의도 받는다. 경찰은 이날 압수수색에서 관련 증거를 상당 부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태광은 압수수색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고 “경찰의 압수수색에 적극 협조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제기된 의혹이 해소될 수 있도록 경찰의 수사에 성실하게 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이 전 회장은 지난 8월 정부의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복권된 지 약 2달 만에 다시 경찰의 수사선상에 올랐다.
앞서 이 전 회장은 태광산업이 생산하는 섬유제품 규모를 조작하는 '무자료 거래'로 총 421억원을 횡령하고 법인세 9억여원대를 포탈한 혐의 등으로 2011년 구속 기소됐다.
이후 건강 등을 이유로 7년 넘게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아 '황제 보석'이란 비판을 받은 그는 논란 끝에 2018년 구속됐고 징역 3년형을 확정받아 2021년 10월 만기출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