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11월 산업생산이 반도체 업황 회복에 힘입어 한 달 만에 증가 전환했다. 소매 판매도 9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했지만, 설비투자와 건설기성은 감소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1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1.6(2020년=100)으로 전월보다 0.5% 증가했다. 지난 10월 1.8% '마이너스'에서 벗어나 한 달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제조업에서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달 제조업 생산은 전월 대비 3.3% 증가했다. 지난 8월(5.3%)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이 중에서도 반도체의 급증세(12.8%)가 눈에 띄었다. 기계장비도 8% 증가했다.
제조업 출하 역시 반도체(30.2%)와 기계장비(7.8%)의 증가에 따라 5.2% 늘었다. 세부적으로는 내수 출하와 수출 출하가 각각 3.2%, 7.5% 증가했다. 제조업 재고는 반도체(-3.8%), 1차금속(-5.2%), 전기장비(-8.0%) 등을 중심으로 2.4% 감소했다.
제조업의 ‘재고÷출하’ 비율을 의미하는 재고율은 114.3%로 8.9%포인트(p) 하락했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전월 대비 보합을 나타냈고, 제조업 가동률지수는 2.6% 늘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도소매(1.0%)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운수·창고(-1.4%) 등에서 생산이 줄었다.
금융·보험도 0.7% 줄어 석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예대 금리차 축소에 따른 이자 수입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 판매도 전월 대비 1.0% 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11월 진행된 할인행사 덕에 승용차·가전제품 등 내구재 판매가 2.6% 늘었고,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도 0.6% 증가했다.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는 0.4%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5.7%)와 기계류(-1.5%) 투자가 모두 줄어 전월 대비 2.6% 감소했다. 두 달 연속 감소세다. 건설업체의 실제 시공 실적을 금액으로 나타내는 건설기성은 전달보다 4.1% 감소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9로 전월보다 0.1%p 하락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9로 0.2p 올랐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제조업 생산은 회복된 모습이지만, 소매 판매와 설비투자는 아직 회복이 덜 됐다고 볼 수 있다"며 "재고가 감소하는 흐름을 보이면서 선행지수는 플러스를 기록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