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뉴스=유연수 기자) 신세계그룹 정용진 총괄부회장이 회장으로 승진했다. 2006년 부회장을 맡은 후 18년 만의 승진이다.
신세계그룹은 8일 이 같은 내용의 인사를 발표했다.
신세계그룹은 "이번 인사는 정용진 회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을 정면 돌파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유통 시장의 경쟁 속에서 다양한 위기 요인에 대응하려면 그만큼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신세계그룹은 정 회장 승진을 통해 시장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신세계그룹은 "녹록지 않은 시장 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혁신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최고의 고객 만족을 선사하는 1등 기업으로 다시 한번 뛰어오르고자 이번 인사를 단행했다"고 말했다.
신세계그룹은 현재 환경이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기존 유통시장 체제를 뒤흔들 정도로 급성장한 쿠팡과 지난해부터 거세게 시장을 파고들고 있는 알리익스프레스와 같은 중국계 이커머스의 공세 속에 낀 이마트는 그 어느 때보다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 그룹 앞에는 기존 주력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먹거리가 될 신사업을 끊임없이 발굴해야 할 과제도 놓여 있다. 한단계 더 도약할 기로에 서 있는 만큼 정용진 회장의 역할도 막중한 상황이다.
정 신임 회장은 지난해 연말 경영전략실을 기능 중심의 컨트롤타워로 개편하고 대대적 혁신을 주문했다. 경영진의 의사결정을 보좌하는 경영전략실 본연의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기민한 의사결정과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정 회장의 승진으로 '정용진 체제'로의 개편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명희 총괄회장의 지원 아래 정 신임 회장의 그룹 장악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신세계는 국내 유통산업의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며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끊임없이 연구하고 제공해 왔다"며 "정 회장 승진으로 치열하게 변화하는 혁신기업으로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인사에서 정 회장이 승진했으나 지분 구조는 변동이 없다. 신세계 계열 지분구조를 보면 정용진 회장과 정유경 총괄사장이 각각 이마트와 신세계 지분을 18.56% 보유하고 있다. 이명희 총괄회장이 이마트와 신세계 지분을 10.00%씩 갖고 남매 경영을 뒷받침하면서 신세계그룹 총수(동일인) 지위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