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약 6억달러 줄었다. 외화 외평채 만기 상환과 강달러 영향으로 외화자산 환산액이 감소한 것도 영향을 끼쳤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122억1000만달러(약 572조5000억원)로, 5월 말(4128억3000만달러)보다 6억2000만달러 감소했다. 4월 이후 석 달 연속 내리막이다.
한국은행은 "분기 말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은 늘었지만, 외화 외평채 만기 상환과 국민연금 외환 스와프의 일시적 효과, 미국 달러화 강세에 따른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 감소 등이 겹쳐 외환보유액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외화 외평채 만기 상환과 신규 발행 사이 시차가 발생한 데다, 미국 달러화가 약 1.1%(미국 달러화 지수 기준) 평가 절상(가치 상승)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오르자 한은이 국민연금과의 외환 스와프 협약에 따라 달러를 공급했다는 뜻이다.
또, 미국 달러 가치가 상승한 만큼 반대로 달러로 환산한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가치는 하락했다.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나눠보면 예치금(244억3000만달러)이 전월보다 59억4000만달러 늘었지만,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639억8000만달러)은 64억4000만달러 축소됐다.
국제통화기금(IMF) SDR(특별인출권)은 146억5000만달러로 전월보다 1억달러 줄었고, IMF포지션은 43억6000만달러로 전월 대비 2000만달러 감소했다. 금은 47억9000만달러로 전월과 같았다.
주요국과의 순위를 비교할 수 있는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지난 5월 말 기준 4128억달러로 열 달 연속 세계 9위 자리를 지켰다.
중국이 3조2320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1조2316억달러)과 스위스(8881억달러), 인도(6515억달러), 러시아(5990억달러), 대만(5728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천674억달러), 홍콩(4172억달러)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