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아파트 매수세가 10·15 대책 이전 한껏 몰리며 서울 실거래가가 큰 폭으로 뛰었다. 한국부동산원은 18일 9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4년8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9월 2.75% 올라 2021년 1월 3.15%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실거래가 지수는 동일 단지·동일 주택형의 실제 거래 가격을 이전 거래와 비교해 산출하는 지표로, 해당 월에 더 높은 금액의 거래가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올해 들어 서울 실거래가는 지난 6월 2.36%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지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 여파로 7월(0.97%)과 8월(-0.02%)에는 보합 또는 소폭 하락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9·7 공급 대책 이후 공공 주도 공급 방식에 대한 실망감과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가능성 등이 겹치며 한강 벨트 중심으로 상승 거래가 다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권역별로는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위치한 동남권이 3.85%로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2020년 7월 4.68% 이후 최대치다. 이어 서북권(마포·서대문·은평구)이 3.11%, 동북권(성동·광진구) 2.48%, 서남권(영등포·양천·동작구) 2.39%, 도심권(용산·종로·중구) 2.48% 순으로 상승했다.
수도권 전체 실거래가 지수는 서울과 경기(1.36%) 강세에 힘입어 1.69% 올랐으며, 지방은 0.35% 상승했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도 1.09% 상승해 2021년 9월(1.93%) 이후 최대 폭으로 오름세를 나타냈다.
실거래가 상승 흐름은 10월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부동산원이 지난달 말까지 신고된 거래 기준으로 집계한 10월 잠정 지수는 서울 1.48%, 전국 0.64% 상승이 예상된다. 다만 10·15 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되기 전까지 강북 지역에서 일부 급매물이 거래된 영향으로 최종 수치는 변동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