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국내 시장금리가 오르며 주요 시중은행 정기예금 최고금리가 약 반년 만에 다시 연 3%대로 진입했다. 19일 은행권에 따르면 이달 들어 각 은행이 대표 정기예금 금리를 잇달아 인상하면서 고객 유치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 17일 ‘신한my플러스정기예금’ 최고금리를 연 2.80%에서 3.10%로 0.30%포인트(p) 올렸다. 1년 만기 기준 기본금리는 2.90%이며, 6개월간 정기예금 미보유·입출금계좌에 소득 입금 등의 우대 조건을 충족하면 0.20%p가 추가된다.
우리은행도 지난 14일 ‘우리 첫거래우대 정기예금’ 최고금리를 연 2.80%에서 3.00%로 인상했다. 신규일 직전년도 말 기준 우리은행 계좌를 보유하지 않은 고객에게만 최고금리를 적용하며, 1년 만기 기본금리는 2.00%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기준 18일 현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대표 정기예금 최고금리는 연 2.55∼2.85% 수준이다. 지난달 21일(연 2.55∼2.60%)과 비교해 금리 상단이 0.25%p 상승했다.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과 NH농협은행 ‘NH올원e예금’ 최고금리는 2.85%로 가장 높다.
최근에는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저축은행 평균을 웃도는 역전 현상도 나타났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2개월 만기 평균 금리는 연 2.68% 수준이다.
금리 상승 배경으로는 시장금리 오름세가 꼽힌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진 가운데 국고채·은행채 금리가 동반 상승하며 은행 조달 비용도 높아졌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은행채 1년물 금리는 지난 8월 2.498%에서 이달 18일 2.820%까지 올랐다.
예금 금리 상승세에 정기예금 잔액도 급증했다. 5대 은행의 17일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974조1643억원으로, 지난달 말 대비 8조5954억원 늘었다. 하루 평균 약 5056억원 증가한 셈으로, 지난 5월 이후 증가폭이 가장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