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 발행규모 5000억원 확대 방안 검토...채권 발행 통한 조달금 전액 환경 분야 투자 예정
[사진제공=현대제철]
[더파워=최병수 기자] 현대제철이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발행한 ESG채권 중의 하나인 녹색채권이 수요자들의 적극적인 호응에 힘입어 흥행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현대제철은 지난 18일 총 2500억원 규모의 ‘녹색 채권’ 발행과 관련해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 예측을 진행한 결과 예정 금액을 8배 초과한 총 2조700억원이 몰려 회사채 발행 규모를 5000억원으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다. ESG채권 발행은 현대차그룹 내에서 금융사를 제외하고는 현대제철이 처음이다.
ESG채권은 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 등 사회적 책임투자를 목적으로 발행되는 채권으로 크게 녹색채권(Green Bond), 사회적채권(Social Bond),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 3종류로 나뉜다.
이중 녹색채권은 탄소 감축·건물 에너지 효율화·신재생 에너지·전기 자동차 등 친환경 활동과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자금 지원 등 녹색산업과 관련된 용도로만 사용이 한정돼 있는 채권을 말한다.
현대제철은 이 채권의 목적에 맞춰 만기시까지 조달금액 전액을 환경(Green) 프로젝트에 투입할 예정이다.
현대제철 측은 “이번 채권 발행이 한층 의미를 더하는 이유는 이번 ESG 인증이 신용평가사에서 진행됐으며 평가 기준 가운데 최고인 GB1(E1/M1)² 등급을 받았다는 점”이라며 “신용평가사의 인증을 거칠 경우 인증절차가 까다롭고 정기적인 사후 평가를 통해 등급에 대한 관리가 이뤄져 투자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제철의 녹색채권 인증 평가를 실시한 한국신용평가 관계자는 “현대제철의 관리·운영체계가 분명하게 정비돼 있고 투명성도 매우 높다”면서 “회사의 프로젝트 평가·선정 절차, 자금관리, 사후보고·공시, 회사의 환경·사회적 논란 등 녹색채권 관리체계가 ICMA³의 원칙에 모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대규모 투자 및 기술개발 계획을 수립한 현대제철은 이 계획의 일환으로 진행하고 있는 코크스 건식냉각설비(CDQ)도입 및 배기가스 탈황 탈질 및 품질개선 작업에 채권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사용할 계획이다.
현대제철에 따르면 CDQ는 제철공정 중 석탄원료로부터 코크스를 생산한 후 냉각하는 설비다.
현대제철은 지금까지 냉각수를 이용한 습식냉각설비(CSQ)를 활용해왔으나 CSQ는 냉각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이에 현대제철은 냉각가스를 순환시켜 수증기 배출을 억제하고 폐열 회수가 가능한 건식냉각설비(CDQ)로 대체함으로써 환경 리스크를 줄이는 것은 물론 에너지 효율까지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현대제철은 전사적 차원에서 친환경 경영을 펼치기 위해 힘쓰고 있다”며“ESG 채권 발행은 이 같은 회사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앞으로도 경영상의 의사 결정에 있어 환경적 요소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친환경책임 경영을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