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출생아 수가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한달에 태어난 아이보다 사망자수가 더 많은 인구 자연감소도 40개월째 이어졌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출생아 수는 1만9천939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66명(3.7%) 감소했다.
이는 월간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후 2월 기준으로 가장 적은 수치인데,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7년 3개월째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시도별로 보면 대구, 인천 등 5개 시도를 제외한 서울, 부산 등 나머지 12개 시도는 출생아 수가 1년 전보다 줄었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인 조출생률도 5.1명으로 2월 기준 역대 최저치를 1년 만에 경신했다. 지난해 2월에는 5.3명이었다.
시도별로는 세종이 9.4명으로 가장 높고, 전북이 4.0명으로 가장 낮았다.
2월 사망자수는 2만739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05명(-6.5%) 감소했다. 강원도(1146명), 전북(1396명) 등 2개 시도에서 사망자가 증가했고 서울(3020명), 부산(1965명) 등 15개 시도에서 감소했다. 조사망률은 7.0명으로 같은 기간 0.4명 줄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2월 인구는 7천452명 자연 감소했다. 2019년 11월부터 시작된 자연 감소 추세는 40개월째 이어졌다.
시도별로는 대전과 경기, 세종 등 3개 시도는 자연 증가했고 서울 등 14개 시도에서 자연 감소했다.
한편 거리두기 해제 영향으로 인해, 지난 2월 혼인 건수는 1만 7,228건으로 1년 전보다 16.6%, 2,541건 늘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감소세였던 혼인 건수는 지난해 8월부터 7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 1월 혼인 건수는 1년 전보다 21.5% 늘어나며 1만 7,926건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