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중대본 "사망·실종 48명"… 공식 집계 외 사망자 1명 더 늘어

메뉴

정치사회

중대본 "사망·실종 48명"… 공식 집계 외 사망자 1명 더 늘어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3-07-17 09:51

미호천제방유실로침수된충북청주시오송읍궁평2지하차도에서17일새벽배수작업이계속되고있다./사진=연합뉴스
미호천제방유실로침수된충북청주시오송읍궁평2지하차도에서17일새벽배수작업이계속되고있다./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유연수 기자] 전국에 쏟아진 폭우로 사망·실종자가 17일 48명으로 늘어났다.

어젯밤부터 오늘 새벽까지 오송 지하차도 사망자 시신 3구가 추가로 수습돼 충북 지역 누적 사망자만 15명이 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의 이날 오전 6시 기준 집계에 따르면 이번 집중 호우로 인한 사망자는 세종 1명, 충북 15명(오송 12명), 충남 4명, 경북 19명 등 총 39명이다. 중대본 집계 이후로도 오송 지하차도에서 시신 1구가 추가로 수습돼 현재까지 이를 포함하면 충북 사망자는 16명(오송 13명)이다.

실종자는 부산 1명, 경북 8명 등 9명이며, 부상자는 충북 13명을 비롯해 총 34명이다.

오송 지하차도 침수 사고로 차량 10여대 이상이 물에 잠긴 것으로 파악되며, 현재 배수작업과 잠수부 투입 구조작업이 진행 중이다.

전국 15개 시도 111개 시군구에서 6255세대 1만570명이 일시대피했다. 직전 집계인 전날 오후 11시보다 1130명 늘어난 규모다. 이중 경북에서 대피한 사람이 1954세대 2970명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 1409세대 2657명, 충북 1345세대 2500명이 그 뒤를 이었다.

공공시설(628건)과 사유시설(317건) 피해도 충남과 경북을 중심으로 대폭 늘었다.

도로 사면유실·붕괴는 충남 87건, 경북 24건을 비롯해 146건 발생했으며, 도로 파손·유실도 49건으로 증가했다. 토사유출은 충남 58건을 비롯해 108건 발생했으며, 하천 제방유실도 169건 발생했는데 그중 대다수(127건)가 충남에 집중됐다. 낙석·산사태는 충남 5건 등 8건, 수목 전도는 충남 23건 등 25건이 발생했다. 경북에서는 상하수도 파손 49건과 문화재 침수 22건 피해도 있었다.

사유시설 중에서는 주택 침수가 총 139동(충남 136동)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주택 전·반파도 경북과 충남을 중심으로 52동에서 발생했다. 옹벽파손·축대붕괴·토사유출 등 기타 피해도 충남 35건을 비롯해 전국에서 90건 발생했다.

현재까지 폭우로 정전 피해를 입은 가구는 총 2만 8천607호로, 이중 2만 8천494호(99.6%)가 복구됐다. 미복구 세대 113호는 경북 예천 100호, 충북 충주 13호 등이다.

KTX 경부·호남·전라·경전·동해 선로는 운행 중이며, 서울∼부산, 용산∼목포·여수, 중앙선(이음), 중부내륙선(이음)은 운행중지됐다. 일반열차 전 선로는 운행을 멈췄다. 항공기는 김포 7편, 제주 5편을 비롯해 총 16편이 결항됐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60,000 ▼143,000
비트코인캐시 693,000 ▼1,000
이더리움 3,995,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620 ▲20
리플 3,717 ▲10
퀀텀 3,057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80,000 ▼80,000
이더리움 3,99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610 ▼10
메탈 1,067 ▼4
리스크 606 ▲1
리플 3,717 ▲15
에이다 959 ▼3
스팀 19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70,000 ▼70,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2,500
이더리움 3,997,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640 0
리플 3,716 ▲10
퀀텀 3,053 0
이오타 253 ▲4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