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지난달 생산과 소비, 투자가 모두 전달보다 소폭 증가하며 5월에 이어 두 달 연속 '트리플 증가'를 기록했다.
생산 증가세는 소폭에 그쳤지만, 반도체 출하가 늘면서 재고가 줄었고 제조업 생산도 5분기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며 하반기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를 다소 덜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6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1.1(2020년=100)로 한달 전보다 0.1% 증가했다.
전산업 생산은 올해 들어 2월과 3월에 1%대 상승을 이어가다 4월에 1.3% 감소하며 주춤했지만, 5월에 다시 1.1% 증가했다.
광공업생산은 반도체(3.6%) 등에서 생산이 늘었지만 석유정제(-14.6%)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1.0% 감소했다. 특히 자동차 생산(12.9%)이 줄어든 영향이 컸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10.8%) 등에서 생산이 늘고 반도체(-15.9%), 화학제품(-10.4%) 등에서 생산이 줄어 5.6% 감소했다.
제조업 생산은 5월의 높은 증가세(3.0%)에 대한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1.1% 줄었다. 다만, 분기 기준으로는 1분기보다 3.4% 늘며 지난해 1분기 이후 5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 생산이 5월(2.5%)에 이어 3.6% 증가했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하면 18.6% 줄었다.
제조업 재고는 비중이 큰 반도체 출하가 늘면서 전달보다 6.2% 줄었다. 1975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폭 감소다.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1.0% 증가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3%), 신발 및 가방 등 준내구재(-0.1%)에서 판매가 줄고, 승용차 등 내구재(4.7%) 판매는 늘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2.1%), 화장품 등 비내구재(-0.6%)에서 판매가 줄었다. 다만 승용차 등 내구재(8.2%) 판매가 늘어 1.4% 증가했다.
설비투자도 승용차 등 운송장비(1.6%)에서 투자가 늘면서, 전달보다 0.2% 늘었다.
건설기성은 토목·건축의 공사 실적이 줄면서 2.5% 감소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상승하며 두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산업생산과 소비·설비투자가 두 달째 증가한 것은 2018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다만 산업생산 증가 폭이 보합세에 가깝고 설비투자 증가 폭도 크지 않아 본격적인 경기 회복세로 해석하기는 이르다는 평가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선행지수 등에서 경기가 조금 개선된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분기 말이라는 특수 요인도 있어 더 지켜봐야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