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경제

수입물가 석달째 상승…작년 12월 2.4%↑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1-15 08:46

"소비자물가에 상승 압력"…수출물가도 2.4% 올라

수입물가 석달째 상승…작년 12월 2.4%↑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지난달 환율 급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수입 제품의 전반적인 가격 수준(원화 환산 기준)이 2.4% 높아졌다.

수입물가 상승은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42.14로, 11월보다 2.4% 올랐다.

수입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부터 석 달 연속 상승했다. 12월 상승률은 4월(4.4%)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기도 했다.

재료(3.0%), 중간재(2.2%), 자본재와 소비재(각 2.1%) 등이 모두 상승했다.

품목별로 농림수산품(3.6%), 광산품(2.9%), 화학제품(2.7%), 1차 금속제품(2.1%)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커피(9.7%), 원유(3.8%), 철광석(3.9%), 메탄올(3.3%), 인쇄회로기판(9.0%), 2차전지(3.4%) 등의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한은은 원/달러 환율과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수입물가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1월 평균 1,393.38원에서 12월 1,434.42원으로 2.9% 뛰었다. 같은 기간 국제 유가도 두바이유 기준(월평균·배럴당) 72.61달러에서 73.23달러로 0.9% 올랐다.

지난해 12월 기준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11월(130.57)보다 2.4% 높은 133.75로 집계됐다. 역시 석 달 연속으로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이 2.7% 올랐고, 공산품이 화학제품(2.9%), 석탄 및 석유제품(3.1%) 등을 중심으로 2.4%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냉동수산물(3.3%), 휘발유(5.6%), 제트유(3.5%), 자일렌(3.7%)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지난해 12월 무역지수(달러 기준)의 경우 수출물량지수(126.80)와 수출금액지수(141.37)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6.5%, 7.8% 상승했다.

수입물량지수(116.05)와 수입금액지수(138.64)도 각각 5.5%, 1.9% 올랐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3.32)는 전년 동월 대비 4.8% 올라 18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수입가격이 3.5% 내렸으나, 수출가격이 1.2% 오른 결과다.

소득교역조건지수(118.33)는 수출물량지수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모두 상승하면서 1년 전보다 11.6% 높아졌다.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66,000 ▲503,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6,000
이더리움 3,998,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4,620 ▲240
리플 3,712 ▲50
퀀텀 3,060 ▲2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87,000 ▲437,000
이더리움 4,000,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4,630 ▲230
메탈 1,068 ▲12
리스크 607 ▲7
리플 3,713 ▲50
에이다 963 ▲14
스팀 194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70,000 ▲520,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7,000
이더리움 3,997,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4,640 ▲260
리플 3,711 ▲51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