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불거진 우리금융그룹의 부당대출 사고 등 논란과 관련해 “임종룡 회장이 사태를 정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원장은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우리은행 내 현실적으로 파벌도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에서 임종룡 회장이 갑자기 빠지게 되면 거버넌스(지배구조)와 관련된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임 회장이 사태를 정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임 회장이 임기를 채우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기회가 될 때마다 사석에서 밝혀왔다”고 덧붙였다.
다만 현재 진행 중인 우리금융에 대한 경영실태평가는 거버넌스 이슈와 별개로 엄정히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의 거버넌스가 유지된 채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당위와, 우리금융이 아무렇게나 해도 된다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라며 “경영실태평가 도출 및 그 이후 이어질 자회사 편입 문제 등은 원칙대로 엄정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임 회장이 임기를 지키고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한다”면서 “거꾸로 회장님이나 행장님 입장에서는 본인들이 직(職)을 걸고 체질 개선 및 환골탈태를 이끌어야 하는 게 아니냐”고 반문했다.
한편, 최근 시중은행들이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하지 않고 가산금리를 높게 유지한다는 지적과 관련해 이 원장은 “작년 10월부터 시작된 기준금리 인하 흐름이 올해 1분기부터는 어느 정도 효과를 낼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을 다시 결정할 텐데, 물가나 환율 추이, 내수, 국내총생산(GDP) 성장 등을 고려할 때 조금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바람직하다는 당국 내 공감대와 사회적 공감대가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완화적 통화정책이 이어질 경우 소비자들은 점차 금리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이 원장은 주가연계증권(ELS) 등 고위험 상품 판매 관련 대책을 이달 말 금융위원회와 함께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