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손해사정사의 시대, 이름을 알리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메뉴

경제일반

손해사정사의 시대, 이름을 알리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민진 기자

기사입력 : 2025-07-08 11:33

손해사정사의 시대, 이름을 알리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더파워 민진 기자] 손해사정사는 보험회사가 아닌 독립된 제3자의 입장에서 손해를 평가하고 보험금을 산정하는 전문가다. 그 업무는 전문성, 객관성, 공정성을 필요로 하며 법률·의학적 지식을 동시에 요구한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손해사정사는 여전히 시장에서 자신의 이름조차 알리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법무법인, 회계법인 등은 브랜드 하나만으로도 신뢰를 얻지만, 손해사정 업계는 ‘이름 있는’ 법인조차 드물고, 개인 손해사정사는 더더욱 인지도가 낮다.

이는 업의 구조적인 특성과도 관련 있다. 손해사정사는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고객을 확보하기 어렵다. 고객 대부분이 사고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단발성으로 발생하고, 보험금 분쟁이 해결되면 인연이 끝나기 때문이다. 게다가 손해사정 서비스는 무형에 가까운 전문 서비스로, 가격 비교가 어렵고 결과도 보장되지 않는다. 이럴수록 고객은 ‘얼마나 잘하는 사람인지’를 먼저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바로 이 지점에서 퍼스널 브랜딩의 중요성이 드러난다.

개인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채널이 바로 블로그다. 블로그는 단순 홍보 수단이 아니다. 특정 분야의 전문지식을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발신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네이버 검색을 통해 진입하는 소비자는 글의 깊이와 구조, 사례 제시, 문제 해결 능력을 통해 작성자의 수준을 가늠하게 된다. 특히 ‘신체 손해사정’과 같이 전문성이 높은 분야에서는 소비자의 불안과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콘텐츠가 곧 신뢰로 직결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많은 손해사정사가 블로그를 ‘브랜딩’이 아닌 ‘일차원적인 광고’로 접근하고 있다. 단순 정보 전달, 사건 해결 사례 등을 반복적으로 나열하는 데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단기적 전환을 노린 홍보에 가까우며, 오히려 브랜드 이미지에는 마이너스가 될 수 있다. 소비자는 “왜 이 사람을 선택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답을 원한다. 그것이 곧 브랜딩이고, 블로그는 이를 위한 가장 실용적인 장치다.

성공적인 브랜딩 블로그 운영을 위해서는 몇 가지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고객이 궁금해하는 질문에 답하는 글이어야 한다. 둘째, 개인의 경험과 관점을 담되, 정보의 객관성은 유지해야 한다. 셋째, 특정 키워드를 타깃으로 콘텐츠를 기획해 검색 유입을 고려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블로그는 하루아침에 완성되지 않는다. 일관성과 반복을 통해 쌓아가는 ‘디지털 자산’이다. 이를 이해하고 성실하게 운영할 수 있다면, 그 자체가 영업의 기반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손해사정사가 사건 처리, 조사, 보험약관 검토, 의료 기록 분석 등으로 바쁜 일정 속에서 블로그까지 직접 운영하기는 쉽지 않다. 글쓰기 자체가 어렵거나,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는 경우도 많다. 이럴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환영마케팅’은 손해사정사 브랜딩 블로그에 특화된 전문 콘텐츠 에이전시다. 단순히 글을 대행하는 것이 아니라, 손해사정사의 강점과 차별점을 바탕으로 브랜드 정체성을 설계하고, 그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한다. 이미 여러 명의 손해사정사들이 이 서비스를 통해 블로그를 수익 기반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고객 유입과 상담 전환율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이제 손해사정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업무 능력을 넘어, 시장 속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전략적 브랜딩이다. 그리고 그 시작은, 제대로 된 블로그 운영이다.

도움말 환영마케팅 대표 유수원 손해사정사

민진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82,000 ▲143,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3,000
이더리움 4,00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600 ▲100
리플 3,719 ▲27
퀀텀 3,049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30,000 ▲185,000
이더리움 4,000,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4,620 ▲110
메탈 1,062 ▲1
리스크 607 ▲3
리플 3,718 ▲25
에이다 960 ▲6
스팀 19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40,000 ▲220,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2,000
이더리움 4,000,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4,580 ▲100
리플 3,716 ▲23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