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9.19 (금)

더파워

학생선수 폭력피해 3년째 증가…후속조치는 오히려 줄어

메뉴

정치사회

학생선수 폭력피해 3년째 증가…후속조치는 오히려 줄어

이우영 기자

기사입력 : 2025-09-19 14:07

백승아 의원
백승아 의원
[더파워 이우영 기자] 학생선수들의 폭력 피해 응답은 최근 3년 연속 늘어난 반면, 징계 등 후속조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교육위원회)은 19일 교육부가 제출한 ‘2022~2024년 학생선수 폭력피해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자료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학생선수 폭력 피해 응답은 총 1,141건(응답률 2.4%)으로, 2022년 923건(1.7%), 2023년 1,042건(2.0%)에 이어 꾸준히 증가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647명(56.7%)으로 가장 많았으며, 중학교 395명(34.6%), 고등학교 99명(8.7%) 순이었다. 특히 초등학교 피해 응답은 건수와 비중 모두 최근 3년간 늘어난 반면, 고등학교는 감소세를 보였다.

2022~2024년 학생선수 폭력피해 실태조사 결과
2022~2024년 학생선수 폭력피해 실태조사 결과


성별로는 남학생 피해자가 78.3%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여학생은 21.7%였다. 소속별로는 학교 소속이 59.8%, 개인(사설) 소속이 40.2%였고, 가해 주체는 학생 간이 78.2%로 가장 많았다. 지도자는 8.3%, 교사는 0.9%, 기타는 12.6%였다.

문제는 후속조치에서 ‘징계완료’가 7.7%(107건)에 그친 반면, ‘조치불요’가 92.3%(1,277건)에 달했다는 점이다. 교육부 기준상 ‘조치불요’는 오기입, 학폭 사안이 아닌 경우, 조사 전 조치 완료 등을 의미하지만, 그 비중은 2022년 이후 매년 늘어 2024년에는 전년(87.9%)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백승아 의원은 “학생선수 폭력 피해 응답이 3년 연속 증가했고, 특히 초등학교 비율이 높아진 것은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원인에 대한 정밀 분석과 신속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피해 응답이 늘어나는데도 ‘조치불요’가 92.3%에 이른 것은 실태조사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며 “조사 방식을 개선하고, 피해 처리 방식의 적정성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우영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45.24 ▼16.06
코스닥 863.11 ▲6.00
코스피200 473.44 ▼1.9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05,000 ▲186,000
비트코인캐시 853,000 ▲1,000
이더리움 6,327,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8,810 ▲90
리플 4,231 ▲13
퀀텀 3,412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04,000 ▲115,000
이더리움 6,32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8,810 ▲40
메탈 1,010 ▲2
리스크 511 ▼1
리플 4,230 ▲11
에이다 1,262 ▲2
스팀 18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90,000 ▲210,000
비트코인캐시 852,500 ▲1,500
이더리움 6,32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8,810 ▲100
리플 4,230 ▲12
퀀텀 3,405 ▲7
이오타 267 ▼2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