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청년층(15∼29세) 고용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경력직 중심 채용 기조 등 구조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데이터처는 19일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이 45.1%로 전년 동월 대비 0.7%포인트(p) 낮아졌다고 밝혔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청년층 고용률은 전년 같은 달 대비 17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이후 약 16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당시 청년 고용률은 2005년 9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51개월간 내림세를 보였다.
고용률은 인구 대비 취업자 비율로, 단순한 취업자 수 증감보다 실질적인 고용 상황을 반영하는 지표다. 최근 고용률 하락은 인구 감소보다는 산업 구조와 채용 환경 변화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제조업과 건설업 부진이 청년층 일자리 질을 떨어뜨렸다고 분석한다. 8월 제조업 취업자는 미국 관세정책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6만1000명 줄며 15개월 연속 감소했다. 건설업 취업자도 같은 기간 8만4000명 감소해 17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달 전체 취업자 수는 2915만4000명으로 31만2000명(1.1%) 증가했지만,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가 주로 단기직에 집중되면서 청년층 취업자 수는 되레 14만6000명 줄었다. 단기 일자리 확대가 청년 고용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한 셈이다.
또한 기업의 경력직 중심 채용 기조도 청년층 고용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꼽힌다. 올해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중 신규채용은 546만7000개로 2018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였으며, 전체 일자리 대비 신규채용 비중도 26.6%로 가장 낮았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과거 청년 고용 부진은 금융위기나 코로나19 같은 일시적 충격 때문이었지만, 지금은 경제가 신규 일자리를 충분히 창출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 때문”이라며 “단기간 회복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