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2 (토)

더파워

[스낵컬처 분석 1] 모바일, 스낵컬처 원동력

메뉴

전체기사

[스낵컬처 분석 1] 모바일, 스낵컬처 원동력

송기란 전문기자문화경영학 박사

기사입력 : 2016-12-19 14:37

짧은 시간 동안 간편하게 즐기는 문화 예술 소비 트렌드인 스낵컬처(snack culture)가 이제 정착단계를 넘어 콘텐츠 산업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웹툰산업은 이미 1조원 시장을 꿈꾸고 있다. 그 뒤를 웹소설과 웹드라마가 따라가고 있다. 플랫폼인 네이버와 카카오도 적극적이다.

더파워는 스낵컬처 시장에 대한 전망을 위해 네이버·카카오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스낵컬처 산업 현장과 삼성증권 오동환 애널리스트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시장을 정리한다.

[스낵컬처 분석 1] 모바일, 스낵컬처 원동력

[스낵컬처 분석 1] 모바일, 스낵컬처 원동력


스낵 컬처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는 스낵처럼, 출퇴근 시간이나 점심시간등에 5∼15분 내외로 간편하게 문화생활을 즐기는 라이프스타일 또는 문화 트렌드를 말한다. 웹툰, 웹 소설과 웹 드라마가 대표적인 스낵컬처다.

스낵컬처 시대의 부상

스낵컬처는 지하철역이나 병원 등에서 이뤄지는 작은 음악회, 직장인의 점심시간 등과 같은 자투리 시간에 즐길 수 있는 문화공연이나 레포츠 등으로 시작됐다.

자료: 삼성증권
자료: 삼성증권

이같은 문화 현상은 큰 맘 먹고 음악회나 공연장을 찾아 제대로 된 문화공연을 즐기거나 두꺼운 문학 서적을 읽는 등 많은 시간이나 노력을 투자하지 않고도 문화생활을 즐기고자 하는 성향이 두드러지면서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상황별 스마트폰 이용 비율 - 자투리 시간에 많이 이용      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상황별 스마트폰 이용 비율 - 자투리 시간에 많이 이용 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2010년을 전후하여 스마트 기기가 대중화되면서 디지털 콘텐츠의 소비 트렌드 역시 스낵 컬처의 영향을 받고 있다.
요즘 10~20대들은 편당 40~50분을 시청해야 되는 TV 프로그램 대신 드라마나 예능의 핵심 부분만 3~5분으로 보여주는 클립 동영상을 주로 시청한다.

스마트폰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필수적인 미디어 매체로 등극       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스마트폰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필수적인 미디어 매체로 등극 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 모바일이 스낵컬처 견인

종이 책을 사서 읽기보다는 2,000자 미만의 분량으로 쪼개어져 업로드되는 웹소설을 많이 읽는다. 뉴스 역시 장문의 텍스트를 읽기 보다는 7~10 장의 이미지와 핵심 텍스트가 결합된 카드뉴스로 접하는 추세이다.

스낵 컬처 부상의 배경에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디지털 컨텐츠 소비의 중심 연령의 하락이 깔려 있다.

10~20대가 모바일 컨텐츠 주 소비층,     참고: 일 소비 시간 기준,     자료: KT경영경제연구소
10~20대가 모바일 컨텐츠 주 소비층, 참고: 일 소비 시간 기준, 자료: KT경영경제연구소

스마트폰이 TV나 PC를 넘은 가장 중요한 생활 매체로 부상하면서, 미디어 소비도 모바일 환경에 맞추어 진화했다. 스마트폰의 이용 시간이 휴식 시간이나 이동 중에, 혹은 누군가를 기다릴 때처럼 높은 집중력이 필요하지 않은 짧은 시간에 이뤄지다 보니 콘텐츠 역시 이에 알맞게 짧게 재편되고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소비 연령이 10~20대가 중심이 되면서, 이들이 집중할 수 있는 집중력에 한계도 스낵 컬처 부상의 배경이 되고 있다.

자료: 삼성증권
자료: 삼성증권

KT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대가 모바일에서 가장 선호하는 형태의 콘텐츠는 동영상이나 완독률은 43% 수준에 불과하다. 이들이 생각하는 모바일 콘텐츠의 적정 분량은 동영상 43초, 사진 10장, 일러스트 17장, 텍스트 30줄, 인포그래픽 9장에 불과하다.

20대 선호 적정 모바일 콘텐츠 분량,   참고: 전국 20대 918명 대상 설문조사,  자료: KT경영경제연구소, 삼성증권
20대 선호 적정 모바일 콘텐츠 분량, 참고: 전국 20대 918명 대상 설문조사, 자료: KT경영경제연구소, 삼성증권

젊은 세대의 취향에 맞게 콘텐츠 역시 짧고 집중력 있게 변화하고 있는 중이다. (2편 계속)

송기란 전문기자(문화경영학 박사)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43,000 ▼64,000
비트코인캐시 688,500 ▼14,500
이더리움 3,989,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660 ▼210
리플 3,753 ▼9
퀀텀 3,026 ▼3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31,000 ▲74,000
이더리움 3,987,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620 ▼240
메탈 1,078 ▼3
리스크 623 ▲5
리플 3,756 ▼8
에이다 963 ▼8
스팀 19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60,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688,000 ▼16,000
이더리움 3,98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640 ▼210
리플 3,754 ▼8
퀀텀 3,037 ▼55
이오타 25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