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유원준 기자] 정부가 최근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지속해서 발생·확산됨에 따라 국내 유입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1일 대한한돈협회와 방역협의회를 개최했고 오는 23일 주중 농무관이 참석하는 전문가 회의를 갖는 등 중국의 ASF 발생동향과 국내 대응방안을 논의한다고 22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위험 항공노선 검역 강화, 국내 전체 외국인 근로자 방역관리, 불법 반입 수입금지산 축산물의 유통·판매 단속 실시, 남은 음식물과 야생멧돼지 방역관리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고용노동부, 산업인력관리공단과 협조해 축산업 관련시설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 이외에 국내 전체 외국인 근로자의 자국 축산물 반입을 금지토록 교육·홍보를 실시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조해 외국인 밀집지역의 식품판매점과 인터넷 상에 수입금지산 축산물의 유통·판매 단속을 실시해 불법 유통 수입 축산물을 원천 차단해 나갈 예정이다.
환경부와 협조해 남은 음식물을 직접 처리해 급여하는 농가는 품질관리·시설기준 등의 지도·점검을 강화해 폐업 또는 배합사료 급여로 전환을 유도하고 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절을 위해 포획틀 지원을 확대한다.
한돈협회는 양돈농가와 양돈산업 관계자 등에게 'ASF 예방 비상 행동수칙'을 철저히 이행하도록 교육·홍보를 강화하고 농가의 방역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내달 7일 한돈인대회에서 ASF 예방 결의대회를 연다.
오는 23일 국내외 방역전문가 회의에서는 주중대한민국대사관 농무관이 중국의 ASF 발생원인, 중국정부의 방역추진사항, 확산원인 등을 설명한다.
한편, 중국 내 ASF 발생현황은 지난 21일 기준 67건에 달했다. 28개성·4개직할시 중 16개성·3개직할시에서 발생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제기구와 해외공관을 통해 ASF 발생현황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며, "해외 대사관·영사관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국내외 방역상황과 대응방안을 주기적으로 협의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