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대기업 총수일가 중 절반 가량이 다른 대기업 총수일가와 혼인한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데일리’에 따르면 총수가 있는 국내 55개 대기업 집단 중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 중 경영에 참여했거나 참여 중인 인물들의 혼맥(이혼·재혼 포함)을 분석한 결과 총 317명의 총수일가 중 대기업간 혼인한 비중은 48.3%(153명)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 부모세대에서 대기업간 혼사 비율이 46.3%(81명)였던 것이 자녀세대에선 50.7%(72명)로 소폭 증가했다. 특히 부모세대에서는 정·관계 집안과의 혼사가 28%(49명)로 대기업간 혼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지만 자녀세대에선 7%(10명)로 크게 감소했다.
대기업 총수일가가 일반인과 결혼한 비중은 부모세대에서 12.6%(22명)에 불과했으나 자녀세대부터는 23.2%(33명)까지 증가했다.
실제 최근 혼맥 사례를 살펴보면 대기업 총수일가의 최근 2년간 총 5건의 혼인 사례 중 3건이 일반인과 이뤄졌고, 대기업과 학계와 이어진 혼인 사례는 각각 1건씩이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남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는 사내연애를 통해 만난 일반인 정모씨와 지난해 10월초 결혼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차남인 서준석 셀트리온 이사는 올해 대기업 임원을 부친으로 둔 일반인 여성과 혼인했다.
지난 6일에는 김상열 호반그룹 회장의 장남 김대헌 호반건설 대표가 SBS 전 아나운서 김민형씨와 혼인식을 올리기도 했다.
지난 7월 초에는 정기선 현대중공업 부사장이 서울 시립대학교를 졸업한 교육자 집안 출신 여성과 혼인했다.
반면 지난 10월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의 장녀 서민정씨는 범삼성가인 홍석준 보광창업투자 회장의 장남 홍정환씨와 결혼했다. 홍석준 회장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부인인 홍라희 씨의 남동생이다.
대기업 총수일가와 법조계·학계·의료계와의 혼인은 부모세대나 자녀세대나 별반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법조계와의 혼사는 부모세대가 5.1%(9명), 자녀세대가 5.6%(8명)로 비슷했고 학계는 각각 8명(부모세대 4.6%, 자녀세대 5.6%)으로 같았다.
의료계와의 혼인은 부모세대가 2.9%(5명), 자녀세대가 4.2%(6명)로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대기업 총수일가와 언론계와의 혼사는 부모세대에는 0.6%(1명)에 불과했지만 자녀세대에선 3.5%(5명)로 급증했다.
다른 대기업 가문과 사돈 관계를 맺은 ‘혼맥 수’는 GS그룹과 LS그룹이 각각 8곳으로 가장 많았다. GS그룹은 금호석유화학을 비롯해 세아·태광·LIG·벽산·아세아·삼표·부방 등과 사돈을 맺었다. LS그룹이 사돈 관계를 맺은 대기업은 두산·키스코홀딩스·OCI·BGF·천일여객·사조·현대자동차·삼표 등이다.
두산그룹과 금호아시아나그룹이 각각 대기업 6곳과 사돈을 맺어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현대자동차·동국제강은 각각 4곳, 코오롱·태광·애경·아모레퍼시픽 각각 3곳, LG·OCI·세아 각각 2곳, 한화·효성·KCC·DB·한국타이어·금호석유화학·삼성·대림·영풍 각각 1곳 등인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