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 규모 물류센터별 상이 채용현황에 따라 조기 마감...주식 부여 목표인원 약 3000명
17일 쿠팡은 상시직으로 전환하는 일용직 근로자에게도 주식을 부여한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김시연 기자] 미국 뉴욕 증시 상장을 추진 중인 쿠팡이 상시직으로 전환하는 일용직 근로자에게도 주식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
17일 쿠팡은 “현장 근로자 대상 1000억원 상당의 주식 부여는 상시직 현장 근로자뿐만 아니라 상시직으로 전환하는 일용직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조치는 쿠팡이 그동안 지속해 온 상시직 장려 정책의 연장선”이라며 “쿠팡은 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 직원들을 격려하고 성장 과실을 나누기 위해 현장 근로자 전원에게 주식을 무상 지급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쿠팡 측에 따르면 이번 주식 부여 대상자는 오는 3월 5일까지 상시직으로 전환하는 일용직 근로자들이며 목표인원은 약 3000명이다.
전환 규모는 물류센터별로 상이하며 채용 현황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다. 쿠팡 관계자는 “쿠팡은 모든 일용직에게 상시직 전환을 지속적으로 제안해 왔다”며 “이번 주식 무상부여를 통해 상시직 전환을 유도하는 것도 직고용과 상시직을 통해 근로자에게 안정적인 근로조건을 제공한다는 쿠팡의 평소 철학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5일 강한승 쿠팡 경영관리총괄 대표는 직원들에 보낸 이메일을 통해 “일회성 주식 부여 프로그램을 통해 1인당 약 200만원 상당의 주식을 받게 된다”고 알렸다.
주식 부여 대상자는 올해 3월 5일 기준 쿠팡과 자회사에 재직 중인 쿠팡 배송직원(쿠팡친구)과 물류센터 상시직 직원, 레벨 1∼3의 정규직·계약직 직원으로 정해졌다.
당시 쿠팡은 “이들에게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을 부여하며 주식을 받은 날로부터 1년을 근무시 50%를, 2년 근무하면 나머지 50%를 받는 방식”이라고 밝힌 바 있다.
외주용역을 통해 운영하는 일반 택배업계의 사업방식과 달리 쿠팡은 지난 2014년부터 직고용을 시작해 왔다. 지난 2015년부터는 분류업무 전담인력을 별도로 투입해 현재 4400명의 인력이 분류업무를 도맡아 하고 있다.
이어 2016년 주 5일 근무를 도입한 쿠팡은 2018년부터 주 52시간 근무까지 실시했다. 지난해에는 직원들을 상대로 원격건강상담서비스와 200억 규모의 복지기금 마련, 어린이집 개원 등 여러 복지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