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박현우 기자] LG전자는 29일 올해 1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을 각각 18조8095억원, 1조516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분기 사상 최대 실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7%, 39.1% 증가한 수치다.
반면 사업 철수를 결정한 모바일 사업부는 올 1분기 약 2800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본부별 실적을 살펴보면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사업본부는 분기 역대 최대치인 매출액 6조 7081억원, 영업이익 9199억원을 기록했다.
LG전자에 따르면 사업본부 기준 분기 영업이익이 9000억원을 넘은 것은 이번 1분기 H&A사업본부가 최초다. H&A사업본부의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1분기 13.9%에 이어 분기 사상 역대 두 번째인 13.7%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모든 지역에서 고르게 매출이 증가하는 동시에 신가전 등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와 렌탈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2.1% 증가했다.
매출액은 국내·해외에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보였다. 건조기·스타일러·식기세척기 등 스팀가전의 판매 호조가 이어지고 공간 인테리어 가전인 LG오브제컬렉션의 인기가 꾸준히 유지되면서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조원 이상 늘었다.
HE(Home Entertainment)사업본부는 올 1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이 각각 4조82억원, 4038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4.9%, 23.9% 늘어난 규모며 영업이익률은 10%를 넘었다.
LG전자는 북미·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올레드 TV, 나노셀 TV, 초대형 TV 등 프리미엄 제품의 수요가 증가한 덕분애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1분기 올레드 TV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LCD(액정표시장치) 패널가격이 크게 상승했지만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비중 확대와 투입 자원의 효율적인 집행으로 11분기만에 4000억원을 넘어섰다.
3개월 뒤 사업종료 예정인 MC(Mobile Communications)사업본부는 올 1분기 매출 9987억원, 영업손실 280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규모이나 영업손실은 작년 4분기 2485억원에 비해 더 늘었다.
LG전자는 글로벌 시장의 경쟁 심화로 인해 영업손실은 더욱 증가했다고 전했다. 최근 LG전자는 MC사업본부의 생산·판매를 오는 7월 31일자로 종료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LG전자는 올 2분기부터 MC사업본부의 실적을 영업이익에 반영하지 않고 중단영업손실로 처리할 방침이다.
VS(Vehicle Component Solutions)사업본부는 전년 동기 대비 43.5% 증가한 매출 1조8935억원을 기록한 반면 영업손실 7억원이 발생했다.
매출액 증가는 북미·유럽 등 주요 완성차 시장이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전기차 파워트레인과 인포테인먼트 분야의 신규 프로젝트가 늘어난 영향이다.
LG전자는 세계 3위 자동차 부품 업체인 마그나사(社)와 함께 설립하는 합작법인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가칭)을 올 7월 1일자로 출범할 예정이다.
BS(Business Solutions)사업본부의 매출액은 1조 8643억원, 영업이익은 1340억원으로 집계됐다. 올 1분기 매출액은 분기 사상 최대치다.
LG전자 측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재택근무와 온라인 교육이 지속되면서 PC·모니터와 같은 IT 제품의 매출이 늘었다”며 “영업이익은 주요 부품 가격과 물류비의 인상이 있었지만 전략 제품 판매에 집중해 수익성을 확보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