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LG에너지솔루션은 오는 2030년까지 15조원을 투자해 대한민국을 글로벌 배터리 기술 및 인재 허브로 만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사진제공=LG에너지솔루션]
[더파워=최병수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오는 2030년까지 15조원을 투자해 한국을 글로벌 배터리 기술 및 인재 허브(Hub)로 만든다.
8일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충북 오창 2공장 부지에서 열린 ‘K-배터리 발전전략 보고대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김종현 사장은 “닐 암스트롱이 최초로 달에 발을 내디딘 것처럼 LG는 1999년 국내 최초로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산을 시작해 2009년 세계 최초로 현대차와 협력해 리튬이온 전지를 자동차에 적용한 뒤 전세계 주요 자동차 업체로 사업을 확대해 왔다”며 “그동안 보유 특허 수 2만4000여건으로 세계 1위,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생산 능력 세계 1위 등의 기록을 세우며 기술력을 증명해왔다”고 강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 배터리 R&D 및 생산기술 삼각허브 구축, LG IBT 설립을 통한 배터리 전문 인력 육성, 소부장 업체 협력을 통한 밸류체인 강화 등 3대 핵심과제 추진을 통해 글로벌 배터리 시장 1위를 차지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LG에너지솔루션·LG화학은 오는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연구개발(R&D) 분야 투자 9조7000억원을 포함한 총 15조1000억원을 국내에 투자하고 이를 통해 8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방침이다.
세부적으로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스마트 팩토리 생산기술 확보 및 생산라인 증설 등에 12조4000억원을 투자하며 여기에는 오창 1공장 증설 및 2공장 신규 생산라인 건설 등이 포함됐다.
또한 배터리 관련 첨단 소재 기술 개발과 양극재 생산능력 확대에는 2조7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오창, 대전, 마곡·과천 등 수도권 세축을 중심으로 ‘배터리 R&D 및 생산기술 삼각 허브’를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2009년 전기차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양산한 오창 1공장은 국내 수주 물량 생산과 해외 시장 물량 조절 기능을 담당한다.
건설 예정인 오창 2공장은 스마트 팩토리 전초기지로 역할을 맡게 된다. 2023년까지 약 37만7000㎡부지에 차세대 제품 개발을 위한 파일럿(시험) 설비와 스마트형 공장 차세대 설비를 구축한다.
LG에너지솔루션인 오창 2공장에서 축적한 차별화된 공정 기술을 해외 생산기지에 전파한다는 방침이다.
1979년 건립돼 배터리 혁신을 이끈 대전 R&D 캠퍼스는 고용량 사원계 양극재, 고용량 실리콘계 음극재 등 차세대 소재 개발과 미래형 공정 혁신을 통한 제품 차별화를 이끌게 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를 위해 오는 2023년 말까지 연구동을 추가 건설하기로 했다.
마곡·과천 등 수도권 연구소는 리튬황·전고체 전지 등 차세대전지 연구개발에 집중하며 신사업 인큐베이션·오픈이노베이션의 거점으로 활용돼 스타트업과 협업 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밖에 LG에너지솔루션은 차세대 배터리 전문 인력 조기 육성을 위해 오창2공장에 전세계 최초 배터리 전문 교육기관인 ‘LG IBT(Institute of Battery Tech)’을 설립한다.
LG에너지솔루션에 의하면 LG IBT는 오창 2공장 내 지하 1층부터 지상 6층까지, 연면적 1만9500㎡ 규모로 만들어지며 교육생 및 관계자를 포함해 최대 400명까지 수용할 수 있다. 올해 11월 착공해 2023년 1월 준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과 공동개발·품질개선 등 동반성장 프로그램도 강화하기로 했다.
김종현 사장은 “에너지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전례 없이 급성장 중인 배터리 시장의 오늘은 미래 먹거리 주도권의 향방을 가늠하는 중요한 기로”라면서 “현재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선도해 K배터리가 글로벌 1위 위상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