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역대 2분기 기준 최대 기록인 6조8149억원 집계...오브제컬렉션 및 올레드 에보 등 판매 호조
29일 LG전자는 올해 2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을 각각 17조1139억원, 1조1127억원을 거뒀다고 발표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스마트폰 사업에서 철수한 LG전자가 올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및 영업이익을 각각 17조1139억원, 1조112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역대 2분기 기준 최대치이며 영업이익은 사상 최초 전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1조원을 돌파했다.
LG전자의 2분기 매출·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각각 48.4%, 65.5% 증가한 수치다,
29일 LG전자가 발표한 올 2분기 사업본부별 실적에 따르면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사업본부는 매출 6조8149억원, 영업이익 6536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역대 분기 최대 기록으로 해외 전 지역에서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32.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확대 및 효율적인 자원 운영 등으로 작년 2분기 보다 6.8% 개선됐다.
LG전자 측은 “공간 인테리어 가전인 LG 오브제컬렉션의 꾸준한 인기가 H&A사업본부의 실적을 견인했다”며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집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생활의 편리함을 더하는 건조기, 식기세척기, 무선 청소기 등의 판매가 증가했고 이는 곧 실적 호조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HE(Home Entertainment)사업본부는 올 2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을 각각 4조426억원, 3335억원을 거뒀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에 비해 각각 79.1%, 216.4% 증가했다.
HE사업본부 실적 견인 1등 공신은 LG 올레드 에보를 포함한 프리미엄 TV의 판매 호조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중 올레드 TV의 경우 판매량이 큰 폭으로 늘면서 전체 TV 매출 가운데 30% 이상을 차지했다.
영업이익은 LCD 패널가격 지속 상승에도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비중이 늘어 전년 동기와 비교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VS(Vehicle Component Solutions)사업본부는 매출 1조8847억원을 기록했으나 2분기 영업손실 1032억원이 발생하면서 사업본부 중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해 LG전자측은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수요가 점점 회복됨에 따라 주요 프로젝트의 공급과 전기차 부품 판매가 늘어 매출은 작년 2분기 보다 2배 가량 증가했다”며 “반면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수급 이슈로 인해 부품 가격이 상승하는 등 일시적으로 비용이 증가해 영업손실은 전분기 보다 늘었다”고 전했다.
BS(Business Solutions)사업본부는 매출 1조6854억원, 영업이익 617억원을 기록했다.
BS사업본부는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PC, 모니터 등 IT제품의 판매 호조가 이어지고 건설경기 회복세에 따라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제품의 수요가 다시 늘면서 매출은 지난해 2분기 대비 28.9% 늘었다. 다만 영업이익은 주요 부품 가격과 물류비의 인상으로 인해 작년 2분기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LG전자는 올 3분기에는 프리미엄 가전과 TV 판매가 늘고 자동차 부품사업이 본격 성장함에 따라 전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중 TV 시장은 프리미엄 TV 수요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LG전자 HE사업본부는 올레드 TV를 포함한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해 매출을 늘리고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영업손실이 발생한 VS사업본부의 경우 글로벌 공급망 관리를 강화해 주요 부품을 확보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매출 극대화와 더불어 원가 절감을 지속해 올 3분기부터 수익성을 개선할 예정이다.
다만 LG전자는 올 하반기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우려와 각국의 통화정책 조정 가능성이 있어 불확실성도 함께 상존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