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6 (수)

더파워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내년 3월까지...상환기간 5년으로 확대

메뉴

경제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내년 3월까지...상환기간 5년으로 확대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1-09-16 16:34

고승범 금융위원장·금융협회장 간담회...취약자는 선제적 채무조정

16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위원장-금융협회장 간담회에서 고승범 금융위원장(가운데)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 정지원 생명보험협회장,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고 위원장, 최성일 금융감독원 부원장,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 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 [사진제공=연합뉴스]
16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위원장-금융협회장 간담회에서 고승범 금융위원장(가운데)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 정지원 생명보험협회장,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고 위원장, 최성일 금융감독원 부원장,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 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유연수 기자]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대출 원금상환 만기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조치가 내년 3월까지 6개월 더 연장된다. 다만 금융당국은 ‘질서 있는 정상화’를 위해 상환기간을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확대하고 채무조정 지원을 강화하는 등 보완방안도 마련해 같이 추진키로 했다.

16일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연장, 가계부채 위험관리 등 금융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은행연합회장, 생·손보협회장, 여신금융협회장, 저축은행중앙회장 등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참석자들은 코로나19 확산세로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고 이자 상환유예 지원 실적과 대출 잔액이 크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해 대출 만기연장뿐만 아니라 이자상환 유예 조치의 추가 연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금융위는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작년 4월부터 올 7월까지 만기연장과 원금·이자상환 유예 지원금은 총 222조원이다. 만기연장 209조7000억원(81만9000건), 원금 상환유예 12조1000억원(7만8000건),이자 상환유예 2097억원(1만5000건)이 지원됐다.

다만 유예 조치가 길어지면서 금융기관의 잠재부실과 대출자의 상환부담 누적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질서있는 정상화’가 필요하다는 데 금융위원회와 금융권은 공감하고 이에 대한 보완대책을 시행키로 했다.

우선 대출 상환 여력이 있는 차주는 금융지원 종료 후 연착륙하는 방안을 내실화하기로 했다. 상환을 개시했을 때 대출자의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대출금 거치기간을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부여하는 방식이지만 이를 대출자가 신청하면 최대 1년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개선한다. 또 유예기간 이상의 상환기간(통상 3년)은 대출자의 상황에 따라 5년까지 확대한다.
[자료제공=금융위원회]
[자료제공=금융위원회]


대출 상환이 어려워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대출자에 대해선 선제적으로 채무조정을 지원한다.

현재 은행마다 지원 대상과 수준을 다르게 적용하고 있는 자체 지원 프로그램과 프리워크아웃 제도를 개선해 코로나19 특약을 신설하는 등 공동의 모범규준을 마련해 지원 조건을 표준화하기로 했다.

연체 전 대출자를 중심으로, 적용 대상은 중소법인까지 확대한다.

신용회복위원회의 채무조정 프로그램도 다중채무자뿐만 아니라 단일채무자도 지원 대상에 포함하고,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자영업자에 대해서는 한시적으로 채무조정 제한을 완화하고 이자율 감면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가 중소법인 부실채권을 매입해 담보권 실행 유예, 분할상환, 채무감면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약 4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지원한다. 또 대출 원리금 중장기 분할납부, 보증료 인하 등 금융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가 한 차례 6개월 더 연장되면서 금융권 유동성 규제와 예대율 유연화 조치도 추가 연장될 예정이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7.91 ▼17.37
코스닥 811.82 ▼1.06
코스피200 432.63 ▼2.1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97,000 ▲457,000
비트코인캐시 680,000 ▼3,000
이더리움 4,271,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6,760 ▲100
리플 3,981 ▲11
퀀텀 3,140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99,000 ▲417,000
이더리움 4,272,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6,780 ▲170
메탈 1,081 ▲3
리스크 633 ▲2
리플 3,980 ▲11
에이다 1,013 ▲3
스팀 20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070,000 ▲470,000
비트코인캐시 681,000 ▼500
이더리움 4,273,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6,260 ▼60
리플 3,983 ▲16
퀀텀 3,138 0
이오타 29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