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정은보 금감원장이 국회 정무위 국감에 참석해 채용비리 관련 후속대책을 이행하지 않고 있는 광주은행을 주의깊게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채용비리와 관련해 광주은행의 조치가 미흡했다며 계속 들여다보겟다는 입장을 밝혔다.
7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같은당 민병덕 의원 등은 과거 은행권 채용비리 사태와 관련해 유독 광주은행만 피해자 보상, 부정 입사자 채용 취소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 원장은 “우리은행·대구은행 등은 사회적 약자 대상 특별전형 등 채용비리 구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에비해 광주은행의 조치는 많이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현재 상황을 파악한 뒤 향후 금감원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살펴보겠다”고 답했다.
다만 “금감원이 채용과 관련해 금융회사에 법적 권한을 갖고 뭔가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면서 “(채용 비리 후속 조치 관련)현황을 파악해 금융사들에게 좀 더 나은 방향으로 권고하고 유도할 수 있는 지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광주은행은 과거 신입 행원 채용 과정에서 면접관에 청탁해 합격자와 불합격자를 뒤바꾸는 등 채용비리를 저지른 바 있다.
이때 한 임원은 인사담당자에게 자신의 자녀가 입사 지원했다는 사실을 알리고 2차 면접전형에서는 본인이 직접 참석해 자녀를 면접하기까지 했다.
수사당국에 따르면 점수조작 등으로 광주은행에 부정 입사한 자들은 총 5명이다. 이들 부정입사자 5명은 여전히 광주은행에 재직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우리은행 및 대구은행은 현재 부정 입사자를 전원 퇴직 조치한 상태다. 이중 우리은행은 경우 퇴직 조치한 인력 만큼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신규 채용을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