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겸 SK그룹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새해에는 새로운 형태의 ‘민관 파트너십’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진제공=SK그룹]
[더파워=최병수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은 새해에는 민간이 제안하고 정부가 이를 도와주는 새로운 형태의 ‘민관 파트너십’이 활성화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30일 최 회장은 2022년 신년사를 통해 “새로운 역할에 관심을 갖거나 성공한 사업 모델을 만드는 기업이 많이 나오려면 국가·사회가 기업 부문의 고민과 해법에 귀 기울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히 국가 간 경쟁에서는 민간의 문제 상황이 정부에 잘 전달되고 대책 마련부터 문제 해결까지 얼마나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 매우 중요하다”며 “따라서 민간이 제안하고 정부가 도와주는 방식이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그러면 반대로 정부가 제안하는 사안에 대해서도 민간이 더 몰입해 참여할 것이며 진정한 민관 협력 풍토가 확립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기업이 새로운 역할에 관심을 갖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매커니즘’도 잘 갖춰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그동안 기업들은 인류가 시대적 난제에 부딪힐 때마다 자신만의 노하우와 창의성을 발휘해 해법을 만들고 세상을 바꾸는 데 일조해 왔다”며 “관건은 기업들에게 ‘어떻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지’”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가 큰 틀에서 기업 성과에 플러스 되도록 동기부여 매커니즘을 잘 만들면 기업은 국가적 과제를 내부화하고 활용 가능한 모든 툴을 동원해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이는 신기술과 신시장·신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매개체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외에도 최 회장은 기업부문이 새로운 역할을 자각하고 실천해야 하며 기업 경영의 전 과정을 사회 눈높이에 맞춰야 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