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일 한전 대표, 최근 여주지사 관내 전기공사 근로자 사망사고 유족에게 공식 사과
9일 한국전력은 최근 여주지사에 발생한 협력업체 직원 감전 사망사고와 관련해 공식 사과하고 재발방지책을 발표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더파워=김시연 기자] 한국전력(한전)이 작년 12월말 발생한 협력업체 근로자의 감전 사망사고에 대해 공식사과하고 재발 방지 등을 위한 특별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9일 정승일 한전 대표는 “최근 발생한 여주지사 관내 전기공사 사망사과와 관련해 유족들에게 깊은 위로와 사과의 뜻을 전한다”면서 안전사고 근절을 위한 특별대책도 함께 발표했다.
먼저 한전은 현재까지 약 30% 수준인 직접활선 작업을 완전히 퇴출시켜 작업자와 위해 요인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기로 했다.
직접활선은 전기가 흐르는 전력선에 작업자가 직접 접촉해 작업하는 공법이다.
또한 한전은 비용·시간이 더 들고 전력공급에 지장이 있더라도 감전 우려가 전혀 없는 ‘정전 후 작업’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여기에 전력선에 비접촉하는 간접활선 작업을 늘리고 새로운 공법도 추가개발해 현장 적용률을 높일 방침이다.
이와함께 한전은 끼임사고 및 추락사고 근절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전기공사용 고소작업차량(절연버켓 차량)의 밀림사고 방지를 위해 고임목과 풋브레이크와 아웃트리거간 인터락(Interlock) 장치를 반드시 설치 후 작업에 임하기로 했다.
추락사고를 막기 위해 모든 배전공사 작업은 고소작업차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고소작업차 진입이 어렵거나 전기공사업체의 장비수급 여건이 곤란한 때에만 안전조치를 검토한 뒤 예외적으로 작업자가 전주에 올라 작업토록 할 계획이다.
또 전국 4만3695개소 철탑에 추락방지장치를 오는 2023년까지 설치 완료하고 추락방지망 설치 위치도 철탑 최하단 암(Arm) 하부 10m로 즉시 조정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모든 전기공사에 1공사1안전담당자를 배치하고 인력·장비 실명제 도입 등을 통해 불법하도급 관행을 원천 차단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기공사업체간 직원 돌려쓰기, 불법하도급 등 부적정행위 적발 업체 및 사업주의 한전공사 참여기회를 박탈하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등도 진행할 계획이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