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국토부 "HDC현산 시공 광주 화정아이파크 외벽 붕괴 '무단 구조변경' 때문"

메뉴

정치사회

국토부 "HDC현산 시공 광주 화정아이파크 외벽 붕괴 '무단 구조변경' 때문"

김시연 기자

기사입력 : 2022-03-14 11:37

당초 설계도와 다르게 PIT층에 콘크리트 가벽 설치...동바리도 조기철거해 1차 붕괴 유발

14일 김규용 건설사고조사위원회 위원장(좌)이 올해 1월 발생한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14일 김규용 건설사고조사위원회 위원장(좌)이 올해 1월 발생한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김시연 기자] 올해 1월 발생한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의 주원인이 ‘무단 구조변경’이라는 정부 조사결과가 나왔다. 해당 아파트는 HDC현대산업개발이 시공했다.

14일 국토교통부 현대산업개발 아파트 붕괴사고 건설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는 지난 1월 11일 광주 화정 아이파크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붕괴사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조위에 따르면 시공 안정석 측면에서 광주 화정아이파크는 39층 바닥 시공방법 및 지지방식을 당초 설계도서와 다르게 임의 변경하고 PIT층에 콘크리트 가벽을 설치했다. 이에따라 PIT층 바닥 슬래브 작용하중이 설계보다 증가했으며 하중도 중앙부로 집중됐다.

PIT층은 39층(옥상층)과 38층 사이에 배관 등을 설치하는 별도의 층을 일컫는다.

또한 PIT층 하부 가설지지대(동바리)를 조기 철거해 PIT층 바닥 슬래브가 하중을 단독 지지하도록 만들어 1차 붕괴를 유발했고 이로 인해 건물 하부방향으로 연속붕괴가 이어졌다.

사조위가 붕괴 건축물에서 채취한 콘크리트 시험체를 강도시험한 결과 대다수 시험체가 설계기준강도의 85% 수준에 미달(17개층 중 15개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콘크리트 강도 부족은 철근과 부착 저하를 유발해 붕괴 등에 대한 건축물의 안전성 저하로 이어졌다는게 사조위 설명이다.

아울러 사조위는 공사관리 측면의 사고원인에 대해선 “시공 과정을 확인하고 위의 붕괴위험을 차단해야 할 감리자의 역할이 부족했다”며 “공사감리시 관계전문기술자와의 업무협력을 이행하지 않아 구조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즉 감리자는 발주기관에 제출된 ‘건축분야 공종별 검측업무 기준’과 다르게 작성한 검측 체크리스트를 사용했고 이로인해 사고 원인으로 지목된 ‘콘크리트 가벽’에 대한 구조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김규용 사조위 위원장은 “위원회는 두 달간 사고원인의 면밀한 분석을 위해 노력했으며 조사결과가 붕괴사고의 원인 규명뿐 아니라 향후 유사사고 재발방지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최종보고서는 지금까지 분석된 조사결과 등을 정리한 뒤 세부적인 사항을 보완해 약 3주 후 국토교통부에 제출할 예정”이라 덧붙였다.

한편 지난 1월 11일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신축공사 현장에서는 PIT층 바닥이 붕괴되면서 39층 하부로 16개층 이상의 외벽이 파손·붕괴돼 근로자 6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93,000 ▲216,000
비트코인캐시 689,500 0
이더리움 4,024,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760 ▲70
리플 3,783 ▲27
퀀텀 3,089 ▲1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264,000 ▲397,000
이더리움 4,023,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750 ▲50
메탈 1,050 ▼1
리스크 594 ▼0
리플 3,781 ▲24
에이다 982 ▲9
스팀 19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240,000 ▲280,000
비트코인캐시 689,500 ▲1,000
이더리움 4,022,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750 ▲80
리플 3,784 ▲25
퀀텀 3,083 ▼14
이오타 26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