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2 (토)

더파워

화물연대 총파업 돌입… 제조·유통 업계 "피해 눈덩이처럼 커질 것" 우려

메뉴

정치사회

화물연대 총파업 돌입… 제조·유통 업계 "피해 눈덩이처럼 커질 것" 우려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2-06-07 13:52

화물연대 총파업 돌입/사진=연합뉴스
화물연대 총파업 돌입/사진=연합뉴스
[더파워=유연수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이하 화물연대)가 7일 0시부터 예정대로 전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지난해 11월 하순에 이어 6개월 반에 또다시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물류난이 현실화하고 있다.

전체 화물 운송 종사자 42만 명 가운데 화물연대 조합원은 2만 5천여 명에 불과하지만 수출입 컨테이너와 시멘트 운송 차량 등의 조합원 비중이 높아 물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먼저 시멘트 공장은 화물연대 조합원들의 방해로 시멘트 출하가 중단됐고, 유통 현장에서도 공급이 중단되는 등 피해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멘트·레미콘 업계는 "가뜩이나 시멘트 공급 부족 사태가 장기화하고 있는데 화물연대 파업으로 빠듯하게 진행돼온 공급마저 원천 봉쇄되면 업계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건설현장도 비상이다. 앞으로 2∼3일은 버틸 수 있겠지만 파업이 장기화되면 레미콘 타설이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파업에 대비해 건설자재 등을 사전에 확보해뒀지만 레미콘 타설이 어려워질 수 있어 대비하고 있다"며 "일단 다른 공정을 먼저 시행하는 등 대체 공정으로 손실을 최소화하겠지만 건설 성수기에 레미콘 타설이 계속 지체되면 공기에도 차질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화물연대 파업으로 유통 현장에도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하이트진로 이천·청주공장에서 생산되는 소주 제품의 운송을 담당하는 일부 화물차주들이 최근 파업에 들어가면서 제품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세븐일레븐과 미니스톱은 지난 4일부터 하이트진로 소주 참이슬과 참이슬 오리지널, 진로이즈백에 대한 발주를 제한했다.

세븐일레븐은 각 매장에서 발주할때 이들 제품을 각각 1박스씩만 주문할 수 있도록 했다.

1박스에는 20개씩 들어있는데 병과 페트병 제품 모두 발주 제한이 걸렸다.

미니스톱은 병 제품은 1박스씩, 페트병 제품은 10개씩만 발주할 수 있도록 했다.

이마트24도 지난 4일부터 하이트진로 참이슬과 참이슬 오리지널, 진로이즈백 병 제품에 대해 각각 3박스씩까지만 발주하도록 제한을 뒀다.

특히 CU의 경우 7일부터 일부 물류센터에서 출고되는 참이슬 제품에 대한 발주 정지가 이뤄질 예정이다.

GS25는 당장 발주 제한을 걸지는 않았지만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파업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소주 대란'이 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대형마트의 경우 아직 하이트진로 제품 재고 물량 등이 있어 문제가 없지만 앞으로 1주일 이상 하이트진로 공장에서 물량이 나오지 않으면 직·간접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한편,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연장과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안전 운임제는 화물 기사들의 적정임금을 보장해 과로·과적·과속을 방지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교통안전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운임인 안전 운임보다 낮은 운임을 지급하는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다. 2020∼2022년 3년간 시행한 뒤 올해 말 폐지될 예정이다.

화물연대는 경윳값 폭등으로 안전 운임제 없이는 생계유지가 곤란한 상황이라며 제도 확대를 요구해왔다.

이와 함께 운송료 인상, 지입제 폐지 및 화물 운송산업 구조 개혁 등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우선 물류대란을 막기 위해 비상수송대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또 화물연대와 소통하며 요구사항을 논의할 계획이었다면서도 불법 행위가 벌어지면 강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화물 차주들의 정상적인 운송을 방해할 목적으로 출입구 봉쇄, 차량 파손 등의 불법행위를 강행할 경우에는 현장 검거를 원칙으로 하고, 주동자는 끝까지 추적해 처벌한다는 방침이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97,000 ▼45,000
비트코인캐시 690,500 0
이더리움 3,987,000 0
이더리움클래식 24,640 ▲40
리플 3,764 ▼5
퀀텀 3,048 ▲2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17,000 ▼38,000
이더리움 3,987,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650 ▲60
메탈 1,074 ▲10
리스크 618 ▲7
리플 3,764 ▼4
에이다 966 ▲4
스팀 19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40,000 ▼140,000
비트코인캐시 690,500 ▲500
이더리움 3,986,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630 ▲130
리플 3,765 ▼5
퀀텀 3,037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