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혁신적인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부 지원보다 민간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 싱크탱크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21일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과제' 보고서에서 "스타트업 엑시트를 위한 인수합병(M&A), 투자금 중간회수시장이 한국에선 미흡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스타트업 엑시트는 창업 이후 성장한 스타트업이 기업공개(IPO), M&A 등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과정으로, 스타트업 성공이 또 다른 스타트업 창업과 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위해 필수적이다.
상의는 투자금 회수 시장이 활성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시장 규모는 해외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매우 작은 수준이며 2020년 인수합병(M&A) 건수와 회수금액 모두 10년 전인 2010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는 스타트업들이 M&A로 수익을 창출을 하거나 새로운 사업에 투자하는 순환 구조가 자리 잡은지 오래다.
국내 스타트업들이 기업공개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13년이지만, 벤처캐피털 펀드의 평균 운용 기간은 7~8년으로 상장까지 걸리는 시간보다 짧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IPO를 통한 투자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워 출자 의사결정에 부담이 큰 편이라고 대한상의는 지적했다.
이에 투자금을 중도에 회수할 수 있는 중간회수시장을 활성화하고, 회수 후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 혜택 등 투자 유인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유망 스타트업들이 자금 조달을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관련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대한상의 SGI 민경희 연구위원은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 발표로 산업계와 예비 창업자들의 기대가 크다"며 "글로벌 선진 창업생태계가 한국에도 자리 잡기 위해서는 민간의 역할이 지금보다 더 커져야 하는 만큼, 정책 추진과정에서도 민간이 주도하는 창업 환경 조성이 핵심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