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지상과 양방향 교신 성공... 큐브 위성 4개 우주로 내보낸다

메뉴

정치사회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지상과 양방향 교신 성공... 큐브 위성 4개 우주로 내보낸다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2-06-22 15:00

한국 독자 개발 발사체 누리호/사진=연합뉴스
한국 독자 개발 발사체 누리호/사진=연합뉴스
[더파워=유연수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에 실려 궤도에 오른 성능검증위성과 지상국 사이의 쌍방향 교신이 22일 새벽에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날 오전 3시 1분쯤 대전 항우연 지상국과 성능검증위성이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처음으로 외국의 발사체를 빌리지 않고 자력으로 자체 개발한 위성을 쏘아올려 교신에 성공하고 위성이 정상 작동중임을 확인했다.

성능검증위성은 발사체인 누리호의 궤도 투입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기술로 제작된 위성이다.

발사가 이뤄진 21일에도 남극 세종기지와 대전 항우연 지상국 안테나를 통해 다섯 차례에 걸쳐 성능검증위성과 교신해 일단 기본상태 정보를 받았다.

항우연 연구팀은 21일 오후 4시 발사 후 약 42분 30초에 첫 교신을 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그보다 좀 더 이른 시점에 교신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또 위성의 3축 자세제어를 위해 필요한 궤도정보를 지상국에서 성능검증위성으로 전송했다.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분리/사진=연합뉴스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분리/사진=연합뉴스

항우연은 앞으로 성능검증위성과 항우연 지상국 사이의 교신을 통해 위성이 발사 이후 자체 저장장치(메모리)에 쌓아놓은 초기 데이터와 위치정보(GPS) 자료를 고속 전송모드(1Mbps)로 내려받을 계획이다.

또 7일간 위성의 상태를 계속 점검하면서 자세를 안정화한 뒤, 이달 29일부터 국내 대학에서 개발한 큐브위성을 하나씩 이틀 간격으로 사출할 예정이다.

사출은 조선대(6월 29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7월 1일), 서울대(7월 3일), 연세대(7월 5일) 순으로 이뤄진다.

성능검증위성에는 전용 카메라가 탑재돼 있어 큐브위성의 사출 과정을 촬영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된 영상데이터는 추후 지상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성능검증위성은 앞으로 2년 동안 지구 태양동기궤도를 하루에 14번 정도(14.6바퀴) 돌도록 설계돼 있다. 한달 동안은 초기 운영을 한 뒤 이후 본격 임무 수행에 들어간다.

고도 700㎞의 태양동기궤도는 지구 저궤도(200∼2000㎞)의 하나로, 궤도면이 항상 태양을 바라보고 있어 에너지 확보 등 위성을 운영하기에 유리하고 일정한 시각에 일정한 지점을 돌기 때문에 영상 확보에도 좋다.

김기석 과기정통부 우주기술과장은 "성능검증위성의 지상국 교신이 성공했으므로, 앞으로 큐브위성 사출 및 탑재체 성능 검증 등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28,000 ▲16,000
비트코인캐시 694,500 ▲1,500
이더리움 4,000,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4,620 ▲210
리플 3,719 ▲30
퀀텀 3,054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50,000 ▲60,000
이더리움 3,999,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610 ▲200
메탈 1,070 ▲9
리스크 606 ▲8
리플 3,718 ▲24
에이다 962 ▲8
스팀 19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7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693,000 ▲1,500
이더리움 3,998,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600 ▲200
리플 3,715 ▲28
퀀텀 3,053 ▲56
이오타 24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