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예비청약자 10명 중 4명은 금리 인상에 의한 이자 부담 증가를 가장 우려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청약 면적도 금융 비용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한 중소형(전용 60㎡ 초과~85㎡ 이하)을 가장 많이 선호했다.
8일 직방이 자사 앱을 이용하는 총 1324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1일까지 15일 동안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올 하반기에 아파트 청약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 988명 중 39.1%가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 증가'를 가장 걱정되는 항목으로 꼽았다.
다음으로 △낮은 청약 가점, 높은 경쟁률 등으로 인한 낮은 당첨 확률(35.4%) △분양가상한제 개편에 따른 분양가 인상 우려(12.9%) △관심지역에 분양 단지 부족(6.1%) 등의 순이었다.
연령별·세대 유형별로는 차이를 보였다. 40대 이상은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 증가'(40.4%)를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청약통장 보유기간이 짧은 20~30대 응답자는 '낮은 청약 가점과 높은 경쟁률 등으로 낮은 당첨 확률'(43.5%)을 택했다.
세대별로도 2~3인 가구 응답자와 4인 이상 가구 응답자는 청약 시 우려되는 사항으로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 증가'를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상대적으로 청약 점수가 낮은 1인 가구는 '낮은 청약 가점, 높은 경쟁률 등 낮은 당첨 확률'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올해 청약 계획을 변경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0% 이상이 긍정했다. '민간, 공공, 임대 등 청약 유형 변경 고려 중'(38.9%)을 가장 많은 응답자가 택했다. △계획에 변경, 영향 없다(24.5%) △지역 변경 고려 중(12.0%) △자금 축소 고려 중(11.5%) △면적 축소 고려 중(11.3%) 등이 뒤를 이었다.
직방 관계자는 "금리 인상 기조, 주택시장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청약 수요자들이 민간 외에 공공이나 임대 단지로도 관심을 돌릴 계획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청약 계획이 없다고 답한 305명은 그 이유를 ▲아파트 청약 당첨 확률이 낮아서(35.1%) ▲이미 주택이 있어서(21.0%) ▲관심 지역에 적합한 분양 아파트가 없어서(18.0%) ▲대·내외적 상황, 변수로 청약 시점을 조정 중(15.1%) 등을 꼽았다.
직방 관계자는 "경기 불황, 금리 인상, 물가 상승 등 영향으로 주택 수요자의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청약시장도 영향을 받고 있다"며 "예비 청약자들은 관심 지역에 공급되는 청약 정보를 지속적으로 살펴보면서 자금 여력을 꼼꼼하게 따져보고 무리하지 않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