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지난달 먹거리 물가 8.4% 올라… 서민 장바구니 '빨간불'

메뉴

경제

지난달 먹거리 물가 8.4% 올라… 서민 장바구니 '빨간불'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2-09-05 13:06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지난달 먹거리 물가가 1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식 등 음식 서비스 물가는 1992년 이후 30년 만에 인상폭이 가장 컸다. 먹거리 물가는 소득이 낮을수록 지출 비중이 커 서민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먹거리 물가는 113.57로 전년 동월(104.80)과 비교해 8.4% 올랐다. 지난 2009년 4월(8.5%) 이후 13년 4개월 만에 가장 많이 상승했다. 먹거리 물가는 소비자물가지수를 지출 목적별로 분류했을 때 식료품·비주류음료·음식서비스부문을 지수 및 가중치를 고려해 계산한 값이다.

2020년 가중치를 기준으로 집계했을 때 지난달 먹거리 물가 지수는 113.57, 지난해 8월은 104.80이었다.

통계청은 가계동향조사를 통해 파악한 가구의 소비지출구조를 바탕으로 일정 기간마다 물가 가중치를 조정한다.

부문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8.0%로 지난해 2월(9.3%) 이후 최고치를 유지 중이다.

식료품·비주류음료에는 빵 및 곡물, 육류, 수산물, 과일, 채소, 과자, 냉동식품 등이 포함돼 있다. 호박(83.2%), 배추(78.0%), 오이(69.2%), 무(56.1%) 등 채소류 가격이 많이 올랐다.

외식 품목으로 구성된 음식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8% 올라 1992년 10월(8.9%)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갈비탕(13.0%), 자장면(12.3%), 김밥(12.2%), 해장국(12.1%), 햄버거(11.6%) 등이 많이 올랐다.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는 서민의 시름을 깊게 하는 요인이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식료품·비주류음료에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24만7천960원, 외식 등 식사비에 지출한 금액은 14만4천442원이었다.

월평균 가처분소득(93만9천968원) 대비로 보면 지출 비중은 식료품·비주류음료가 26.4%, 식사비가 15.4%다.

먹거리 관련 지출 비중만 41.7%에 달해 전체 가구의 먹거리 지출 비중(19.0%)과 큰 차이가 난다.

소득별로 보면 2분위 가구가 24.6%, 3분위가 21.7%, 4분위가 18.9%, 5분위가 14.0%로 소득이 낮을수록 먹거리 지출 비중이 컸다.

소득이 낮은 가구일수록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가 더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가공식품과 함께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도 줄줄이 예고돼 있어 물가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농심은 15일부터 서민의 대표적 먹거리인 라면의 출고 가격을 평균 11.3% 인상한다. 스낵 주요 제품의 가격도 5.7% 올릴 예정이다.

서울시는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현재 3800원에서 내년에 4800원으로 1000원 인상한다는 계획이다. 거리요금과 시간요금 기준도 올린다.

오는 10월 전기요금 인상이 예고된 가운데 도시가스 요금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물가가 정점을 지나더라도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부담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2일 소비자물가가 발표후 ‘물가 상황 점검 회의’에서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7월 3.9%→8월 4.0%)은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이 이어지면서 외식 등 개인서비스 품목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다소 확대됐다”며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상당 기간 5∼6%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59,000 ▲67,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500
이더리움 4,014,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720 ▲30
리플 3,763 ▲13
퀀텀 3,086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99,000 ▲40,000
이더리움 4,012,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730 ▲20
메탈 1,050 ▼6
리스크 597 ▼0
리플 3,762 ▲7
에이다 974 0
스팀 19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2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0
이더리움 4,014,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720 ▲10
리플 3,763 ▲11
퀀텀 3,097 0
이오타 25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