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8월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다시 감소했다. 달러 강세가 지속된 영향이다.
한국은행은 5일 ‘2022년 8월 말외환보유액’ 자료를 통해 8월 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364억3000만 달러로 전월 말 대비 21억8000만 달러 줄었다고 밝혔다. 전달 5개월만에 상승했지만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외화자산 운용수익과 금융기관 외화예수금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달러 환산액이 감소하면서 줄어들었다.
8월 외환보유액은 유가증권 3949억4000만 달러(90.5%), 예치금 179억 달러(4.1%), SDR 144억6000만 달러(3.3%), 금 47억9000만 달러(1.1%), IMF포지션 43억3000만 달러(1.0%) 등으로 구성됐다.
지난 한 달 간 주요 6개국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2.3% 상승했다. 이 기간 주요 통화의 달러화 대비 변동률은 유로화 -1.7%, 파운드화 -4.2%, 엔화 -3.2%, 호주달러화 -2.0%를 각각 기록했다.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은 7000만달러 늘어난 144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IMF 회원국이 출자금 납입, 융자 등으로 보유하게 되는 IMF 관련 청구권인 IMF포지션은 7000만달러 감소한 43억3000만달러였다.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는 금은 47억9000만달러로 지난달과 같았다.
한편,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지난 7월 말 기준(4386억달러)으로 세계 9위 수준이다.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3조1041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본(1조3230억달러)과 스위스(9598억달러), 러시아(5769억달러), 인도(5743억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달 외화자산 운용수익과 금융기관 외화예수금의 증가 등에도 불구하고 미국 달러가 약 2.3% 평가 절상됐다”라며 “이에 따라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미국 달러화 환산액이 줄어 전체 외환보유액도 감소했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