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킹달러가 지속되면서 9월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전달에 이어 두달째 감소했다. 한달 동안 무려 196억 달러 이상 줄면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크게 줄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세계 8위 규모로 충분한 수준인 만큼, 외환 위기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게 한국은행의 설명이다.
한은이 6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천167억7천만달러로, 8월 말(4천364억3천만달러)보다 196억6천만달러나 줄었다.
금융위기 당시 2008년 10월(274억달러) 이후 1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하지만 과거와 비교해 외환보유액 규모 자체가 커졌기 때문에 9월 감소율(-4.5%)은 역대 32번째 수준에 불과하다.
이 같은 외환보유액 축소는 외환당국의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와 달러화 평가 절상에 따른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달러 환산액 감소, 외화예금과 같은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 등에 기인한다는 설명이다.
실제 주요 6개국 통화 대상 달러 인덱스는 9월말 112.25로 전달 108.77보다 3.2% 상승했다. 각국 통화별로 미국 달러화 대비 유로화가 9월 2.0% 하락하고 파운드화도 4.4%, 엔화와 호주달러도 각각 3.9%, 5.2%씩 하락해 하락률이 전달보다 확대됐다.
오금화 한은 국제국장은 외환보유액 감소 배경에 대해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 달러화 평가 절상에 따른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 감소 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달 원/달러 상승 폭 등을 고려할 때 환율 방어가 성공적이었나"라는 질문에 "우리가 특정 환율을 타깃(목표)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국내 외환시장에 수급 불균형이 있는 경우, 시장 기대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해 개입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외환 시장이 기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자산별로는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794억 1000만달러)이 전 달 대비 155억 3000만달러 감소했다. 예금과 비슷한 성격인 예치금은 37억 1000만달러 줄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지난달 말 112.25로 전달(108.77)보다 3.2% 올랐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8월 말 기준(4천364억달러)으로 세계 8위 수준이다.
중국이 3조549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1조2천921억달러)과 스위스(9천491억달러), 러시아(5천657억달러), 인도(5천604억달러), 대만(5천455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4천566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킹달러’ 현상으로 각국은 외환보유액을 대거 소진했다. 1위인 중국은 전달 대비 492억달러 줄었으며 일본(310억달러), 스위스(-107억달러), 러시아(-112억달러), 인도(-139억달러) 등도 외환보유액이 줄었다.
오 국장은 "저희(한국은행) 생각으로 현재 외환보유액은 충분하다"며 "세계 외환보유액 순위에서 우리나라가 9위에서 8위로 올랐고, 외환당국의 외환보유액 뿐 아니라 2014년부터 순대외금융자산 보유국으로서 국내총생산(GDP)의 37%에 이르는 대외자산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낮은 단기외채 비율도 고려해야 하고, 지난달 말 신용평가기관 피치도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같은 신용등급 국가들과 비교해 건실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오 국장은 "외환위기 당시(2008년 3월∼11월) 외환보유액이 월평균 70억∼80억달러씩 감소했는데, 최근(2021년 10월∼2022년 9월) 감소 폭은 월평균 47억7천만달러로 외환위기 당시보다 작다"며 "외환위기라는 표현은 현재 우리나라 경제를 묘사하는데 그다지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