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SK 판교캠퍼스에서 발생한 화재로 카카오톡 등 카카오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자 금융감독원이 카카오 금융 계열사들을 대상으로 비상 대응이 적절했는지 전방위 점검에 나선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부터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카카오증권 등 카카오 금융계열사를 대상으로 화재 시 비상 대응에 문제가 있었는지 점검에 나선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16일까지는 카카오 장애 사태에 따른 금융 계열사들의 전산 거래 상황을 파악했다. 이날 점검에서 규정 위반 사항이 발견되면 현장 점검이나 검사에 바로 돌입할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카카오증권이 그 대상으로, 점검에서 위규 사항이 발견되면 현장 점검이나 검사에 바로 돌입하게 된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카카오 금융 계열사들이 화재로 전산센터에 문제가 생긴 15일부터 16일까지 시간대별로 어떤 대응을 했는지와 비상 대응계획 매뉴얼 및 시나리오를 제출받아 그대로 이행했는지 증빙 자료를 제출하라고 요구할 계획이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전산센터가 서울 마포구 상암에 있어 이번 화재로 인한 전산상 직접 손상은 없었다. 카카오뱅크의 금융거래 중 계좌이체 송금은 정상 가동됐고, 카카오톡을 통한 간편 이체(1일 100만원 한도)만 일부 작동하지 않았다.
카카오페이는 송금 및 결제 서비스가 중단되다 복구 됐으며, 카카오톡과 연계된 인증·상담 서비스는 아직 복구 진행 중이다. 카카오페이의 주 전산 센터는 불이 난 판교에 위치했지만 재해 복구 센터는 가산디지털단지에 위치, 전산망을 연계해 금융 거래가 가능하도록 했다. 고객 계정은 클라우드 서비스로 관리되고 있다.
카카오증권은 판교에 위치한 주전산센터 관련 데이터 처리를 가산디지털단지의 재해복구센터로 옮겼다.
아울러 금감원은 나머지 모든 금융사에 대해선 화재로 인한 전산센터 장애에 대한 비상 대응계획을 자체적으로 점검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금융사 주전산센터에서 화재 발생 시 상세 대응 계획과 작동 여부를 파악하도록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