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KITA, 회장 구자열)가 25일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 ‘제164회 KITA 최고경영자 조찬회’에서 무역협회 구자열 회장이 인사말씀을 하고 있다./사진=무역협회
[더파워 이경호 기자]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이 블록체인과 대체불가토큰(NFT)으로 무역의 외연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 회장은 25일 무협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 '제164회 KITA 최고경영자 조찬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구 회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예술의 영역이 디지털화되며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며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SNS 등 미디어의 발달과 블록체인 기반 NFT 아트의 부상으로 온라인 거래는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기업들이 새롭게 형성된 시장을 선점하고 무역의 외연을 확대할 수 있도록 협회도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주연화 홍익대학교 교수는 강연을 통해 “기존 미술산업이 블록체인 기술과 융합되면서 중요한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며 “현재 작품 구매의 약 80% 이상을 30~50대가 주도하고 있으며, 온라인 거래 플랫폼을 바탕으로 기존과 다른 거래 방식과 소통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 교수는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 최대의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아트시(ARTSY)’에 가입한 국민의 비중이 미국 다음으로 높은 국가로, 투자 관심도가 높고 디지털 환경이 잘 구축돼 있어 미술시장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 교수는 그러면서 “NFT 기술은 소비자와 창작자 간 새로운 소통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며 “미술품뿐 아니라 제조 상품에도 이를 활용한다면 새로운 마케팅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